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넘길 일은 아니다. 연구자들은 행복했던 일을 음미하는 게 기분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정서
조절
에도 도움이 된다며 우울증 등 정서장애의 행동치료요법으로 도움이 될 거라고 제안했다. 문득 꼭 행복했던 기억이 아니더라도 지나간 일들을 음미하는 게 분주한 일상에 지친 메마른 정서를 ... ...
‘신이 내린 몸매’는 누가 만드나
2014.11.10
날씬한 몸을 만드는 장내 미생물이 유전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넬대와 영국 킹스칼리지 연구팀은 쌍둥이 416쌍의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마른 체형의 사람에서는 유독 ‘크리스텐시넬라 미누타(Christensenella minuta)’ 종이 많이 나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과체중인 사람에게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것처럼 전자를 가속시킨다. 연구진은 전자 뭉치가 진행하는 동안 그 모양을 정교하게
조절
하고 전자 뭉치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을 개발해 많은 전자들이 균일한 에너지를 얻게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소형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기 상용화에 이정표가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돌아간다. 게다가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의 구성 성분에 변화를 주면 변하는 온도를
조절
할 수도 있다. 그동안 종이접기 로봇은 주로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이용해 만들었다. 하지만 형상기억합금은 금속인 만큼, 몸속에 넣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 로봇의 소재인 하이드로겔은 인체에 ... ...
당뇨에 비만에 암까지 잡는 이 열매는?
2014.11.05
농도가 높을수록 뛰어났다. 황 박사팀은 지난해 유자 추출물이 당뇨 예방과 체중
조절
, 지방간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황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우리 농산물인 유자의 새로운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농가의 유자 ... ...
막나가는 세포분열 막는 새 ‘브레이크’ 발견
2014.11.04
사실을 함께 확인했다. 이로써 이중가닥 RNA가 PKR 효소를 활성화시켜 체세포분열을
조절
하는 메커니즘이 최초로 밝혀졌다. 김 단장은 “체세포분열의 결함은 암세포 초기 발달의 특징 중 하나인 만큼 이번 연구결과가 암세포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줄 ... ...
거부반응 2개 억제한 돼지 장기, 원숭이에 이식 성공
2014.11.04
축산생명환경부장은 “이식 후 수 개월 뒤에 발생할 수 있는 혈관성 거부반응까지
조절
한 3세대 형질전환 돼지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의 대기 기간은 평균 5년으로,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형질전환 돼지의 장기가 개발되면 환자들의 고통을 ... ...
당뇨 치료 신약 개발할 새로운 단초 발견
2014.11.03
붙은 PPARγ 전사인자 - 위키피디아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
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찾아냈다. 최장현 울산과기대(UN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지방 분화를 담당하는 단백질의 활동을 방해하는 기전을 찾아내고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유전자와 발달(Genes & Development)’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간과 지방조직, 소장 등에 존재하는데 작용이 활발해지면 지방흡수율이 떨어지고 혈당
조절
도 개선된다. 아울러 장내미생물의 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생리 메커니즘을 규명해 수술을 하지 않고도 비슷한 효과를 보는 방법을 찾는 과학자들에게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식욕을 비롯해 대사
조절
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 분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밝혀져 있다. 흥미롭게도 옛날에는 사람들 대다수가 헬리코박터에 감염돼 있었지만 요즘 아이들은 대부분 헬리코박터 음성이다. 지난 4월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