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하나인 아데닌(A) 꼬리가 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이 변형으로 마이크로RNA의 양이
조절
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진은 초파리 실험에서 마이크로RNA에 아데닌 꼬리를 달아주는 것은 ‘위스피(Wispy)’ 효소라는 점도 추가로 알아냈다. 김 단장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초기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분비됐고, 어린 쥐의 혈당도 제대로
조절
됐다. 췌도 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혈당이
조절
되지 않는다는 점을 증명한 것이다. 남 단장은 “췌도 혈관의 염증과 섬유화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당뇨 없는 건강한 노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수 있게 됐다”며 “응답형 분해기작으로 원하는 때에 피포화된 세포의 분열시기를
조절
할 수 있는 차세대 세포피포화기술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 10일자 속표지 논문으로 소개됐다. KAIST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결합한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C 연구원
조절
유전자는 젖당이 있든 없든 억제 단백질을 만들기 때문에 RNA 중합 효소가 결합하는 게 맞다. 실제 상황에서 보기 ‘ㄱ’은 옳은 설명이지만 고교 과정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 서울 종합대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퀀텀닷은 재료 조성을 바꾸지 않고 결정의 크기를
조절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퀀텀닷의 지름이 짧을수록 푸른빛이 나오고 길수록 붉은빛이 나온다”고 말했다. ● 무독성 퀀텀닷 개발 세계 최고 수준 국내 ... ...
빛으로 신경
조절
한다
2014.11.12
연구팀이 개발한 신경 자극 기술을 표현한 학술지 '스몰'의 10월 15일자 표지. - Small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을 이용해 신경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간질이나 파킨슨병 같은 뇌신경계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전상범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수면 항상성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알 수 있는 결과”라며 “향후 인간의 수면 항상성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학 저널 ‘플로스 바이올로지’ 10월 21일자에 실렸다.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나노 구조물도 들러붙지 않고 인쇄가 잘됐다. 또 필요에 따라 주형의 표면 접착력을
조절
해 사람의 피부를 포함한 거의 모든 표면에 나노 구조물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로 이 기술을 이용해 연구진은 폭발성 가스를 빠르게 감지하는 고성능 가스 센서와 과일 표면의 잔류 농약을 검출하는 ... ...
무엇이 그를 길들였나
2014.11.11
웨슬리 워런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이들은 주로 보상, 기억 등 뇌 속 신경세포 기능을
조절
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라며 “야생동물이 사람의 집에 있는 음식을 먹다가 가축이 됐다는 기존 가설과 잘 맞아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GRIA1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받는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특정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 강도를
조절
하는 메커니즘에 이상이 생겨 학습장애가 나타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어 돌연변이 생쥐에게 콜레스테롤 합성저해제인 스타틴을 투여했더니 학습과 기억장애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