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는 생쥐처럼 키우기 쉬운 동물모델을 이용해 밝혀낸 신경제세포에 관한 사실들이
인간
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하나 모두 다분화능 세포신경제세포의 발생과 관계있는 유전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특히 연구자들의 관심을 끄는 것은 세포 간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견딜 수 있는 생물이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거짓말 같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인간
이라면 잠시도 견딜 수 없는 환경에서 꿋꿋이 버텨내는 주인공은 완보동물. 대사율을 0.01% 이하로 억제해 100년 이상 살아갈 수 있는 작은 장갑차 모양의 벌레다. 몸에서 수분을 방출한 일종의 가사 상태에 들어가면 ... ...
미션 투 스페이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
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미션 투 스페이스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1.5m도 되지 않는 황새치가 시속 100km로 헤엄치는 것과 같은 높은 효율을 가진 추진장치는
인간
이 아직 만들지 못하고 있다. 복어처럼 느리게 헤엄치는 물고기는 아주 작은 지느러미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복어가 선회하거나 물 속에 정지해 있는 위치제어 능력은 AUV나 ROV보다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공포를 느끼는 것을 말한다.특정공포증을 일으키는 대상은 시대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인간
의 진화 초기에 가장 공포를 유발하는 자극은 실제 위험이 있었던 대상이나 사건들이다. 맹수나 뱀에 대한 공포가 바로 그런 사례. 그러나 맹수나 뱀공포증은 오늘날에는 그리 흔하지 않다. 악마공포증은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보인다”고 했다.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만들기 전에 당대 최고의 과학자들조차
인간
이 하늘을 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왜 제다이들이 광선총 대신 광선검을 사용할까. 제 아무리 ‘포스’(제다이의 힘)가 높다 한들 아인슈타인이 갈파했듯이 우주에서 빛보다 빠른 것은 존재할 수 없고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는 “지금 생각해도 로봇 분야에 몸담길 참 잘했다”며
인간
의 동반자인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한다. 여종기 LG화학 사장은 “일단 시작하면 재미와 보람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고 미래의 공학도를 격려한다. 이밖에도 양흥준 LG생명과학 사장, 김동진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미소지으며) 새로운 생명을 만드는 건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설사 완벽한 복제
인간
을 만드는 기술이 있더라도 한국 과학자들은 그럴 생각이 없습니다. 안 그런가요, 김 소장님?김성체 : 동의합니다. 참, 소개가 늦었군요. 배아줄기세포 권위자인 이배아 박삽니다.수행원 : (이배아와 부시가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보이’에서 배우 최민식이 갇혀 있던 집에는 베란다가 없었다. 베란다가 없을 경우
인간
은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끼게 되고, 영화에서 베란다가 없는 집은 주인공의 이런 심리를 반영한 것이었다. 책의 세로본능은 기능성을 고려한 측면이 크다. 세로로 긴 책들은 손에 들고 볼 수 있어 이동성이 좋다.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세 그룹 모두 후각을 관장하는 뇌 부위만 반응을 보였다.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실험은
인간
의 뇌가 두 가지 성호르몬에 각각 달리 반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성적 성향과 뇌 활동 부위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즉 이는 동성애자의 뇌 구조가 이성애자와 어딘가 다르며, 성적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