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못하고 파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기하급수는 물리적, 공간적으로 제한돼 있는
인간
과 자연에 한계를 정해준다.무어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메모리의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도 기하급수의 법칙이다. 개인용 컴퓨터(PC)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나 인터넷 트래픽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다.미국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1969년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지 60여년이 지나
인간
은 마침내 달에 우주기지를 세운다. 한국도 달기지 건설에 당당히 한 몫을 거든다.달기지와 우주정거장에는 우주공장이 건설된다. 우주공장에서는 무중력 공간에서 만든 신약 등 우주특산품이 생산된다. ... ...
스파이더맨은 유리벽을 탈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소리 없이 벽을 타고 내려오는 검은 그림자가 있었으니…, 짜잔! 바로 정의의 거미
인간
, 스파이더맨이죠.스파이더맨의 능력은 정말 놀랍습니다. 손에서 거미줄을 쏘아 건물과 건물 사이를 날아다니고, 경사가 90도인 건물 벽도 성큼성큼 잘 타고 다니죠. 덕분에 영화속에서 통쾌하게 악당들을 혼내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구가 조금만 움찔해도
인간
은 두려움으로 몸서리를 친다. 자연의 무한한 힘 앞에
인간
은 나약한 존재일 뿐이다.1976년 7월 28일 중국 텐진에서 일어난 진도 7.8의 지진은 20세기에 일어난 지진 중 가장 큰 피해를 기록했다. 당시 사망자가 65만명을 넘은 것으로 추정됐다.눈을 과거로 돌리면 더 엄청난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달하는 한 방법으로 자리잡았다.최근 일본의 한 시위대가 ‘손에 손잡고’ 서서 ‘
인간
사슬’을 만들어 미군 철수를 요구해 눈길을 끌었다. 개인의 영향력은 미미해도 같은 의견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여럿 뭉치면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보이지 않는 화학분자도 마찬가지다. 분자가 여러 개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보인다. 양 교수는 이 이론을 불교의 ‘일수사견’(一水四見)에 빗댔다. 같은 물이라도
인간
이 보면 마시는 물로 보이고, 물고기가 보면 집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주관적인 불교가 객관적인 과학과 통하는 것이 얼마나 의미있냐고 그는 반문했다.불교와 과학이 맺은 인연“돌아가신 성철 스님도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다
인간
에게는 비필수아미노산이다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산과 염기 중 산이 증가한 상태 혈액의 산성 · 알칼리성은 탄산에 의한 산성과 중탄산에 의한 알칼리성의 상대적인 농도 비율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999년 국내 신문에 기생충을 뱃속에서 기른 ‘괴짜’ 의사의 이야기가 실렸다. 일본 도쿄의치대 후지타 고이치로 교수가 주인공이다. 후지타 교수는 자신의 ... 받을지도 모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생충은 살아있다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모든 연산과 처리를 담당하는 반도체 칩이다.
인간
으로 따지면 두뇌에 해당한다. 1971년 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32비트로 발전하는데는 10년 정도 걸렸다. 하지만 그 후 지금까지 20년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단위는 32비트에 머무르고 있다. 비트는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용할 수 있다. 생물학정보의 보고 생물학연구정보센터 www.bric.postech.ac.kr최근
인간
게놈지도 완성과 함께 생물학 정보가 기하급수로 증가하고 있어 관련 연구 뿐 아니라 연구를 통해 생산되는 다양한 정보의 최적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국내외 생물학 정보를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