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관광 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고래를 잡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주고, 고래와
인간
이 함께 사는 친환경적 해결책이라는 이유에서다. 세계에서 매년 약 900만명이 고래 관광에 몰려 10억달러(1조원) 정도의 관광수입을 올리고 있다.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고래의 서식처가 육지와 멀리 떨어져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동물 세계에서 붉은 색은 상대를 위협하는 신호다. 야생의 습성이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인간
은 붉은 색을 보면 상대의 공격성을 과다하게 느끼고 기가 죽게 된다. 예를 들어 비비원숭이의 경우 다른 수컷을 위협할 때는 얼굴이 붉어진다. 공격본능과 분노로 혈압이 올라가고 얼굴 혈관이 확장되기 ... ...
수학과 과학 가상실험실 - 익스플로어러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각 요소를 직접 마우스로 옮겨가며 DNA를 만들어 볼 수 있다.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인간
이 활동할 때 질병이 옮아가는 특성을 이해하는 시뮬레이션 실험도 할 수 있다. 소도시와 대도시 중 사람에 의해 전염되는 병이 잘 퍼지는 곳은 어디일까. 실험 결과 매일 다양한 사람을 접촉하는 대도시에서 훨씬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만들어낸 인공 인슐린이 1982년 미국의 릴리사에 의해 제품화됐다바이러스 억제인자
인간
과 생물의 세포에 바이러스 등이 침입해 들어올 때 그 세포가 내는 당을 포함한 단백질로서 바이러스 등의 감염과 증식을 억제한다 항암작용이 있는 '꿈의 약'으로도 알려져 있다수집 정리한 엄청난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내부 세포덩어리에서 11개의 줄기세포주를 얻었다.황 교수팀은 지난해 2월 이미 복제한
인간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얻은 줄기세포주는 단 한 개뿐이다. 게다가 체세포와 난자 모두 ‘건강한’ 여성 1명의 것이었기 때문에 그 줄기세포는 ... ...
기생충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일년에 두 번씩 학교에서 채변 검사를 하고 봄ㆍ가을에 회충약을 먹던 것이 불과 10년 전이다. 과연 기생충은 사라졌는가. 최근 기생충 감염률이 33년 만에 증 ... 야누스적인 존재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생충은 살아있다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요즘 기생충이 어디 있냐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기생충은 지금도 우리 곁에 있다. 바퀴벌레를 멸종시키는 게 불가능하듯, 기생충이 지구 ... 말을 쓰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생충은 살아있다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복원 자료로 활용된다. 복원작업에는 지난 수십년간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만든
인간
의 평균 피부 깊이를 정리한 기준표가 이용된다. 엑스선이나 CT로 촬영한 두개골을 보고 나이와 성별에 따라 기준표와 대조해가며 턱이나 뺨의 피부깊이를 결정한다.그 뒤 플라스틱으로 본을 뜬 두개골에 해당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못한다는 점은 지금껏 한계로 지적돼 왔다.새 치료법은 일상에서 맞부딪치는 정교한
인간
관계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기존 사이버치료방법과 많이 다르다. 이에 대해 김재진 교수는 “정신분열증 환자는 자신의 욕구를 설명하고 감정에 대응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미숙해 조직적인 행동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그대로인데 세상을 설명하는 법칙은 완전히 달라졌다. 지구에서 태양으로, 신에서
인간
으로, ‘왜’에서 ‘어떻게’로 생각하는 방법이 바뀌었다. 몇 줄의 글보다 한 토막의 수식이, 지루한 궤변보다 간단한 실험이 더 믿음이 갔다.20세기 초 다시 한번 과학혁명의 바람이 불었다. 섬광처럼 나타난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