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치료제로, 면역세포수치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게 막는다. 원리는 이렇다. HIV가 인체의 면역세포에 침투하면 자신의 RNA 정보를 이용해 DNA를 합성한뒤, 사람의 DNA에 끼어 들어간다. 이렇게 RNA가 DNA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전사라고 하는데, HIV가 갖고 있는 역전사 효소가 이 과정을 매개한다. 트루바다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줄기세포와 생체재료를 쌓아 올려 조직이나 장기를 만드는 방법인데, 이식했을 때 면역거부반응 같은 부작용이 없다. 하지만 폐는 다른 장기보다 훨씬 복잡하게 생긴 데다, 폐기종이 심할 경우 구멍 나기 전의 폐포가 원래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다. 이때 건강하게 남아 있는 조직의 프랙탈 법칙을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는 하루 6시간씩 3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명상을 실시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 면역세포의 텔로머레이스 활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명상을 한 집단의 텔로머레이스 활성이 30% 더 높은 것을 확인해 학술지 ‘정신신경내분비학’에 2010년 10월 발표했다.집에서 홀로 편안히 여유를 즐기는 것도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심각한 동물원성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5세 미만 어린이나 임산부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특수반려동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고 권고했다.친구가 많이 아파요이미 눈치 채셨겠죠. 이 인생이 마냥 쉬운 건 아니에요. 전 손님들을 좋아하지만, 화가 날 때도 많아요. 진짜 ...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엄마의 모유가 아기에게 항체를 줄 뿐만 아니라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의대 아미대 워커 교수팀은 갓 태어 ... 나중에 모유를 먹는 신생아도 예방주사를 맞는 효과를 얻는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학’ 9월 15일자에 실렸다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유전자를 퍼뜨린다”면서 “극심한 외로움 때문에 바이러스를 단시간에 없애지 못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유전적 요인도 달라진다”고 말했다.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외로움을 잘 느낄까. 카치오포 교수팀은 외로움을 잘 느끼는 그룹과 잘 느끼지 않는 그룹의 뇌 활성도를 비교하는 ... ...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HIV는 과연 며칠까지 살 수 있을까에이즈(AIDS) 환자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면역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 환자를 말합니다. 이들의 혈액에는 HIV가 포함돼 있죠.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그렇듯이 HIV 역시 숙주의 몸 밖에 나오면 오랫동안 살지 못합니다.한국에이즈퇴치연맹에 따르면 HIV는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질문 하나를 던졌다. “코가 냄새를 맡는 데 관여하는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췌장이나 면역세포 같은 조직과 세포에서도 발현되는지 알아보고 싶은데, 특정 후각수용체 유전자를 콕 집어내는 게 쉽지 않네요. 혹시 도와주실 분 있나요?”이 질문이 김민수 교수의 뇌리에 꽂혔다. “내 기술로 할 수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성인의 경우 콜레라균이 몸 안으로 들어와도 위장에서 일차적으로 죽고, 나머지는 면역력으로 이겨내기 때문에 사망률 50%는 과장된 숫자입니다. 하지만 제산제를 장기간 먹었거나, 위 수술을 받아서 위산 분비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과 장염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터다. 아직 다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이 유아의 발달 과정과 성인의 여러 가지 면역 및 신경계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인간이 가진 수만 종의 미생물 가운데 오랜 시간 공진화해온 미생물에 연구자들이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