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sw & Issue] 생체조직 투명하게 만드는 데 단 6시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30배 빠른 속도다. 확인하고자 하는 생체 조직을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해 염색하는 ‘면역염색’ 기술도 몸속 더 깊숙한 곳까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조직이 투명해지면 항체의 침투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선 교수는 “생체조직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법 개발의 기반을 ... ...
- [News & Issue]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바이러스가 어떤 종류인지 표지하는 단백질로, 면역대상은 이것을 통해 항체를 생성하고 면역력을 갖춘다.연구팀은 단봉낙타 8마리를 대상으로 4마리에는 새로 개발한 백신을 2회 접종하고 4마리에는 천연두바이러스를 투입한 뒤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3주 뒤 백신을 맞은 낙타는 비점막과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우연히 약을 먹이는 것보다 몸에 발랐을 때 효과가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됐다. 두 약물은 면역세포가 모낭 세포를 공격하지 않게 막아 줄 뿐만 아니라, 피부 모낭에 직접 작용해 휴지기에 들어가 있는 모낭세포를 깨운다.두 약물의 장점은 원형 탈모와 안드로겐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 증상에 효과를 ... ...
- [News & Issue]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현실로?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초기 발생 단계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유전자 가위는 세균의 적응 면역 체계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기술로, 3년 전 ‘크리스퍼’ 라는 간편한 기술이 개발되면서 각광받기 시작했다. 향후 각종 난치병을 치료할 것으로 기대되는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맞춤형 아기’ 등 생명 ...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S는 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사람, I는 병에 걸린 사람, R은 병에 대한 면역이 있는 사람을뜻합니다.연구 결과 뎅기열바이러스는 감염률이 최고조에 이르기 6~8주 전에 확산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을알아냈습니다. 보아투 교수는 “이 모형은 뎅기열뿐 아니라 다른 전염병이 확산되는 양상을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질병을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한때 ‘20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던 무시무시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또한 이제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돼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관리가 가능한 질병의 영역에 들어섰다. 그 러나 치매, 강박증, 자폐증, 조현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취급됐습니다.하지만 면역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할수록 선천성 면역이 후천성 면역의 길라잡이 역할을 한다는등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또 어떤 일을 하게 될지 모릅니다. 줄기세포 여러분, 올해는 뉴트로필로 분화해 보람 있는 삶을 살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런 이유로 상재균까지 모두 다 제거하는 워터프리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면역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방부 기술 역시 위생에 필수워터프리 제품은 물을 기반으로 하는 데다가 영양분과 적당한 온도까지 갖추고 있어, 균에게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안락한 장소입니다. 그래서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고온에 분해되면서 따로 방출될 수 있다. 이 물질 각각은 인체에 해롭다. “특히 면역계가 완성되지 않은 어린 아이들은 이런 물질에 어른보다 훨씬 더 취약해요. 초·중학교의 방과후 교실에서 FDM 프린터의 유해한 면을 전혀 모른 채로 아무런 규제 없이 사용하고 있다는 건 우려할 만한 상황이죠.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치료에 가장 많이 처방되는 치료제 칼레트라(Kaletra)가 대표적이다. 칼레트라는 1996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단백질가수분해효소(protease)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로 개발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미국 국립아르곤연구소의 가속기가 쓰였는데, 전자를 가속시켜 얻은 강한 X선을 단백질에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