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패"(으)로 총 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02
-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일반적인 현장에선 잘 쓰지 않는다. 보통은 시체에서 부패가 많이 진행돼 핵DNA를 검출하기 어려울 때mtDNA를 사용한다. 쉽게 말해 최후의 보루인 셈이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시신, 한국전쟁 당시 사망한 군인들의 유해를 mtDNA로 분석했다. 수중 증거물에서도 피해자 ... ...
- [News & Issue] ‘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과학동아 l201602
- 외치의 사망과 이동경로, 사용했던 도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발견 당시 부패가 진행돼 있던 탓에, 외치의 식이를 연구할 수 있는 위장을 찾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연구팀은 헬리코박터균의 유전정보를 통해 현생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대한 단서를 찾아냈다.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02
- 갑자기 눈앞에 수중시체가 나타나기라도 하면 공황상태에 빠질 수 있어요.” 수중시체는 부패가 심해 외관이 끔찍한 경우가 많다. 성 본부장은 “초보 대원의 경우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포가 혈관을 막는 공기색전증 같은 잠수병도 상시적인 위협이다. 그물에 걸리거나, 선박 안에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02
- 물 위로 떠오른다. 하지만 모든 사체가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은 아니다. 상처가 있어 부패가스가 새어나가거나, 수심이 깊을 경우 아예 떠오르지 못할 수도 있다. 가라앉은 사체는 바다에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한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사건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캐나다 빅토리아대는 벤쿠버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02
- 때 수‘ 중시체 일보전진’이라는 원칙을 세웠다. “경찰이나 법의학자도 사람인지라, 부패한 수중시체에는 덜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마련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였고요. 안 그래도 사인을 밝히기 어려운데, 이래선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중시체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한발 더 다가가자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09
- 이보다 복잡한 여러 종류의 과일과 나무의 흔적이 발견됐다. 약초는 와인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약으로 사용됐다. 이집트에서는 와인이 모든 병을 치료하고 신체의 균형을 잡으며 머리를 맑게 해준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맛에는 약초가 도움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달콤하면서 ...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508
- 반대쪽 다리는 건조 방법으로 실험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수분을 빨리 제거하지 못해 부패가 시작됐다. 일주일 만에 실험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Q 앞으로는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가A 오랫동안 인류학 관점에서 인간 골격과 치아를 연구해왔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 원시 병리학 등이 관심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07
- 돼지갈비는 많이 봤지만, 돼지시체를 직접 보긴 처음이었다. 죽은 지 2주가량 지나 부패가스가 생기면서 상처부위로 내장이 튀어나와 있었다. 처음엔 조금 역했지만, 곧 익숙해졌다. 정육점에서 맡을 수 있는 생고기 냄새가 났다. “왜 하필 돼지로 연구하나요?” “돼지가 사람이랑 가장 ...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06
- 썩어 유기물을 만들고, 이 유기물은 곧바로 다른 생명체에 흡수된답니다. 이렇게 부패와 흡수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열대지역의 토양층은 매우 얇아요.사람들은 가구를 만들고 농사를 짓기 위해 열대지역의 나무를 자르거나 태워요. 그런데 열대지역의 토양층은 얇아서 한번 훼손되면 식물을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05
- 꼭 필요합니다. 반면 쓴맛과 신맛은 위험을 경고하는 맛입니다. 쓴맛은 독을, 신맛은 부패를 경고하지요. 최낙언 이사는 “쓴맛의 수용체는 무려 25가지인데 우리는 한 가지 맛으로 느낀다”며 “쓰면 먹지 말고 무조건 뱉으라는 의미”라고 말합니다. 인류가 쓴나물과 신김치 등을 즐길 수 있게 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