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혀"(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10
- “최근에는 온몸의 각 부위가 동작을 기억한다는 ‘기억의 편재화 이론’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말하자면 머리뿐만 아니라 팔다리 같은 온몸이 오감으로 기억하고 습관이 돼야, 그 분야의 ‘선수’가 된다는 얘기다. 운전을 잘하는 사람이 오랜만에 운전대를 잡아도 차를 잘 몰고, 김연아 선수가 ...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09
- 머리뼈의 특징으로 인종을 추정한다.치아 역시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예를 들어 앞니의 혀 쪽 면이 움푹 들어가 삽 머리 같은 모양을 한 치아는 주로 아시아인에서 나타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이런 특징들을 수량화시켜 좀 더 객관적으로 추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됐다. 대표적인 결과물이 ...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09
- 두 가지가 필요하다. 미각기관과 두뇌다. 인간을 기준으로, 입 속으로 꿀이 들어오면 혀의 미뢰 속 맛수용체가 꿀을 이루는 당 분자를 붙잡아 생체전기신호를 만든다. 이 신호는 맛을 담당하는 뇌 부위로 전달된다. 이 때 뇌는 ‘달다’는 느낌을 떠올린다. 곤충에게도 미각기관이 있다. 무언가의 ...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09
- 들어 달콤한 맛을 내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은 D형이다. 그런데 L형 아스파탐을 우리 혀는 씁쓸한 맛으로 느낀다. 향기입자인 리모넨은 D형인 경우 오렌지 향을 내지만 L형인 경우 레몬 향을 낸다. 그래서 일부러 특정 거울분자만을 걸러내 오렌지 향 또는 레몬 향이 나게 만들 수도 있다. 또한 ...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건전지 없이 전구에 불 켜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8
- 볼타는 동물이 전기를 만들어낸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하다가 금속을 혀의 위와 아래에 놓았을 때 전기가 찌릿하고 통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이 사실을 바탕으로 볼타는 은판과 아연판, 소금물에 적신 골판지를 겹겹이 쌓아 세계 최초로 전지를 만들었다(오른쪽 사진). 볼타전지에서 은은 ... ...
-
- 온 몸이 느끼는 맛 이야기 1. 혀에서 느끼는 5가지 맛과학동아 l201608
- 맛은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과 이온 성분을 알려주고, 독성은 피하게끔 하는 신호로 진화했다. 특히 설탕이나 과당, 탄수화물 등 단맛 물질은 다른 맛 물질에 비해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이 상당히 약하다. 단맛에 질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서 우리 몸이 당을 최대한 많이 먹도록 하기 위해서다.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07
- 반질반질해지기도 하는데 이는 갯과 육식동물이 이빨로 뼈를 반복적으로 문지르거나 혀로 핥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 개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친숙한 모습일 것이다.뼈의 손상 부위나 좌우 송곳니의 간격 등을 보면 동물의 크기를 대강 짐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갯과 육식동물들은 힘이 ... ...
-
- [과학뉴스]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과학동아 l201606
- “어쩌면 아기는 부모가 기뻐하거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전후 행동을 보면서 혀를 내밀거나 입을 벌리는 등의 행동을 보였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기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할 능력을 타고나진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5월 5일자에 발표됐다 ... ...
-
-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인식해 이를 전기신호로 바꿔요. 그럼 이 전기신호가 칩으로 전달돼 혀에 자극을 주지요. 혀에서 받은 자극은 뇌로 전달돼 시각 신호를 만들어요. 자극은 톡톡 튀는 사탕을 먹는 정도예요. 이때 강한 자극은 흰색, 무자극은 검은색, 중간 정도의 자극은 회색으로 인식돼 2차원 흑백 이미지를 볼 수 ... ...
-
- [과학뉴스] 작은 카멜레온의 강한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밝혀졌답니다. 몸의 크기가 47mm밖에 되지 않는 이 카멜레온은 최대 19km/h의 빠른 속도로 혀를 내밀 수 있었어요. 이는 파리가 날아가는 속도의 두 배가 넘는 빠르기랍니다.안데르손 박사는 “카멜레온은 작은 몸집에 비해 먹이를 많이 먹어야 하기 때문에 사냥 기술을 발달시켰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