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의"(으)로 총 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확진 검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이뤄졌다(1월 31일부터는 새로운 검사법이 도입돼 각 시·도의 보건환경연구원과 대학병원이 진단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에는 바이러스성 감염병 진단 시설이 갖춰져 있다. 병원체의 위험도에 따라 진단 시설은 생물안전 연구시설(BL)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삶은 이렇게 우아하고 낭만적일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영하 수십 도의 남극대륙에서 찬바람을 맞으며 망원경 꼭대기에 올라 장비들을 납땜하는 ‘극한직업’ 천문학자들이 있었다. 그들이 남극에 간 이유를 들어봤다. “실험 천문학자요?” 2019년 12월 23일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 북파크에서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개발하는 연구 인턴십을 했다. 그런 과정에서 꿈이 차츰 바뀌었다. 천체물리학도의 꿈을 갖고 유학길에 올랐지만, 점점 실용적인 학문을 공부해 사회에 공헌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2학년 말 컴퓨터공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갑자기 전공을 바꾸니 수업을 따라가기가 벅찼다. 그래서 매일 오후 6시부터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라벨의 비중과 열알칼리성 분리 접착제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85~90도의 2%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이용해 녹일 수 있는 접착제를 열알칼리성 분리 접착제로 정의한다. 이 세 가지를 따지는 이유는 라벨 제거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페트병 재활용업체인 씨케이를 운영하는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나로호의 경우 400기압에 이르는 초고압 가스와 영하 196도에 이르는 액체질소, 영하 183도의 액체산소와 같이 극저온 상태의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나리오를 철저하게 세워 오작동이나 조작 실수에 따른 불의의 사고에 대비해야 했다. GTV 발사대 연계시험의 시나리오는 9단계로 세웠다. 그리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만드는 수십~수백 도의 저온 플라스마와 직류나 교류의 아크 방전을 이용해 만드는 수만 도의 열(아크) 플라스마가 있다. 저온 플라스마는 압력이 수백 Torr(토르·1Torr는 표준대기압의 760분의 1)로 낮은 상태에서 생성돼 반도체나 형광등 제조에 쓰인다. 반면 열 플라스마는 대기압에서 발생시킬 수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결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급속냉동이다. 급속냉동은 주로 영하 196도의 액화질소나 영하 78도 이하의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해 얼린다. 얼음 결정은 온도가 0도에서 영하 5도로 내려갈 때 가장 많이 생성되는데(이 구간을 최대빙결정생성대라고 부른다), 급속냉동은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관성항법장치를 탑재해 조종날개로 비행 초기 자세제어가 가능했다. 개발에는 3년 반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그런데 KSR-Ⅱ는 이륙 후 20.8초 만에 통신이 두절됐다. 순간 머릿속이 하얘지면서 손이 덜덜 떨렸다. 로켓이 만에 하나 지상에 추락한다면 생각하기도 싫은 일이 벌어질 것이다. 다행히 KSR ...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있다. 한 예로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은 극저온 초진공 장치로 영하 260도~영하 170도의 진공 환경을 만들고 인공 얼음 시편을 넣은 뒤, 이산화탄소, 메틸아민 성분을 넣는 실험을 진행했다. 시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질량분석기로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얼음 시편 위에서는 아미노산 ...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눈으로 살펴봤습니다.▲태양에서 멀어지며 얼어붙은 지구의 모습. 사람들은 영하 70도의 극한 기후를 피해 지하도시에서 살아간다 태양계를 떠나기 위해서는 생각할 것이 많습니다. 아무리 가까운 별이라고 해도 수천 년에서 수만 년까지 걸릴 수 있으니,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는 튼튼한 우주선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