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의"(으)로 총 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국가핵융합연구소에 2007년 건설된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스타(KSTAR)’는 2016년 수천 도의 플라스마를 70초간 유지해 세계 최장 운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K스타 구축과 실험을 주도한 이경수 전(前)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은 2015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무차장으로 선출돼 프랑스에서 ITER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꼽힌다. 빅데이터 설비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 유지가 관건이다. 구이저우성은 연평균 14~16도의 낮은 기온을 유지하며, 수력발전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 환경도 갖춰 운영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GBDEx는 2015년 본격 사업 개시 이후 365일,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고 있다. 금융, 소비, 기업,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공간의 벽면에 충격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는 선박은 영하 164도의 극저온으로 액화시킨 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실어 운반하는데, 그 과정에서 슬로싱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탱크가 파손되면 심각한 해상 재난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슬로싱 실험은 배를 안전하게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분(약 55%)의 비중이 더 높아 부드러운 질감을 줍니다. 만약 이 아이스크림을 영하 약 40도의 아이스크림 전용 냉동고에서 얼리면 수분의 동결률이 90%까지 높아지므로 치즈처럼 단단해집니다. 한편 액체질소를 이용해 영하 176도 정도에서 아이스크림을 만들면 벨벳처럼 부드러운 셔벗 형태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5학년 때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 ‘나로호’ 발사 장면을 보면서 우주항공공학도의 꿈을 키웠다. 굉음을 내며 하늘로 멀리 사라져가는 나로호를 보면서 성공한 줄만 알았는데 며칠 뒤 실패했다는 뉴스를 보고 ‘도대체 왜?’라는 의문을 품었고, ‘언젠가 나도 로켓을 발사하는 데 참여하고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038/nmat4692)이 소재가 저장할 수 있는 수소의 양은 기존 수소저장합금 과 비슷하지만, 약 120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수소를 붙이거나 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손 교수는 “이 소재에 수소를 다 량 붙이면 전자 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면서 절연체가 된다는 사실도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이런 특성을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개발한 ‘고속 3D 스캐닝 라이다’는 야간에도 최대 200m, 시야각 140도의 범위 안의 도로 상황을 실시간 3D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인식 오차는 10cm 내외다. 이는 세계적인 라이다 제조 업체인 벨로다인의 제품과 비슷한 수준이다. 벨로다인의 라이다는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 받는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언제나 동일한 충돌 면적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스톤과 스톤이 어느 정도의 두께로 충돌하는가에 따라 스톤과 스톤 사이에서 전달되는 운동량이 달라진다. 스톤과 스톤이 두껍게 충돌할수록 많은 양의 운동량이 전달되며, 반대로 스톤과 스톤이 얇게 충돌할 수록 운동량은 적게 전달되는 ... ...
- Intro. 극지, 끝없는 프론티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만7240km 떨어진 곳. 영하 26도의 춥고 가혹한 남극에 진출한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와 결단이 필요했다. 그렇게 30년 전인 1988년 2월 17일, 남극에 건립한 첫 과학기지인 남극세종과학기지는 오늘날 대한민국을 세계 10위권의 극지 연구 국가로 도약시키는 토대가 됐다. 그간 북극에 북극다산과학기지를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휘어지는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폴리이미드는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영하 273도의 극저온과 400도의 고온에서 물성이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소재다. 특히 현존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단단하면서도 유연해 인쇄회로기판 등 전자소재로 많이 쓰였다. 이런 장점 때문에 폴리이미드는 일찍부터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