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의"(으)로 총 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양이 12% 많으면 액체처럼 흐를 수 있는 특이한 고체 상태인 비정질 얼음이 되고, 영하 263도의 극저온 상태에서도 얼음 결정으로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라파엘 메젠가 취리히연방공대 재료공학과 교수는 “지질 중간상을 극저온 전자현미경 연구에 적용하면 생체 분자 시료가 얼지 않아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필요하다. 플라스마를 만들 연료로 쓸 중수소와 삼중수소도 있어야 한다. 그래야 수 억 도의 플라스마 상태에서 수소 원자핵들이 융합해 태양에너지와 같은 핵융합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핵융합장치는 초고온 플라스마를 진공 용기 속에 넣고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가 벽에 닿지 않게 가둬 ... ...
- [과학뉴스]비행기가 지나간 곳엔 비가 내린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만드는 ‘홀펀치 구름(hole-punch clouds·사진)’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비행기가 영하 15~20도의 과냉각 물방울 주위를 지나갈 때 날개와 프로펠러 등에 의해 공기가 갑자기 팽창하고 온도가 영하 40도 아래까지 급격히 떨어진다. 이로 인해 과냉각된 물방울은 얼음 결정이 되고, 주위의 더 많은 과냉각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한 가지가 더 들어간다. 바로 탄산음료의 ‘주인공’ 이산화탄소다. 이산화탄소는 약 4도의 낮은 온도에서 잘 녹기 때문에 시럽의 온도는 4~6도로 맞춰진다. 자동측정 설비로 모니터링해 원하는 수준만큼 이산화탄소가 녹아있는지 확인을 마치면, 이산화탄소까지 녹인 최종 시럽을 캔에 나눠 담는다. ... ...
- [과학뉴스] 중국, 1억 도 ‘인공 태양’ 성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부 온도보다 10배가량 높은 1억 도의 플라스마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과학원은 1억 도의 플라스마를 몇 초간 유지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안정적인 핵융합 발전을 위해서는 고온의 플라스마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과거 일본 핵융합과학연구소 등 일부 기관은 1억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중 일부가 2번씩 나와서 직교라틴방진은 아니지요.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니 백자생성순수도의 10차 라틴방진 중 하나는 원소가 10개인 특정 ‘아벨 군’처럼 보이더군요! 전격 비교! 백자생성순수도 vs 아벨 군 위에 최석정이 쓰고 있는 표가 바로 백자생성순수도에 있는 10차 라틴방진, 오른쪽 아래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검증에만 수십 년 이상 걸려 언제 완성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해 있다. 1억~2억5000만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안정적으로 수백 초 유지해야 한다는 기술적 난관이 불안감의 가장 큰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등이 ITER에 기대를 거는 이유는 핵융합에너지의 가능성 때문이다 ... ...
-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속 공기보다는 끓는 물이 훨씬 뜨겁게 느껴지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는 “파커가 수백만 도의 코로나를 지나갈 때 열 차폐판이 받는 온도는 약 1400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는 지구에서 화산이 폭발할 때 분출하는 용암의 온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그는 또 “파커가 열 차폐판을 폈을 때 기체의 ... ...
- [Culture] 커피콩으로 와인 세계 첫 제조, 진짜 오리지널 제주 커피 재배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뿌리가 잘 발달하기 때문에, 뿌리가 깊이 뻗어 들어갈 수 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제주도의 토양은 화산토이기 때문에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며 약간 푸석거린다. 즉 커피가 뿌리를 깊이 뻗고 자라기에 안성맞춤인 셈이다. 고도가 100m 상승할 때마다 온도가 평균 1도가량 낮아진다는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시험발사체 QM을 장시간 세워둘 수 없기 때문이다. 산화제로 쓰는 액체산소는 영하 183도의 극저온 상태여서 발사체에 주입한 뒤 시간이 지나면 기화한다.한국형발사체개발연구본부 전문가들이 분석한 결과, 시험발사체 QM과 지상 관제실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