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해"(으)로 총 2,479건 검색되었습니다.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중 소수라고 밝혀진 건 n이 0, 1, 2, 3, 4일 때뿐이다. n이 5, 6, 7, 8일 때는 완전히 소인수분해 됐다. 하지만 아직 소수인지 합성수인지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그 중 일부는 소인수의 일부만 알려져 합성수인 것으로 확인됐지만, 어떤 소인수로 구성돼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2024년 현재 32 ... ...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생명의 비밀 품은 소수 소수는 비단 수학에서만 나타나지 않는다. 소수교 학생들이 수학책 말고도 주변에서 소수를 샅샅이 찾았던 것처럼 소수는 곳곳에 숨어 있다. 심지어 생물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어쩌면 소수가 우리 생명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실마리가 되지 않을까 주목받는 이유다. 그 ...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달라서 인상적인 부분도 있었습니다. 권민경 독자는 “검사에서는 피부가 좋고, 알코올 분해를 잘한다고 나왔는데 실제 경험과 달라서 인상적이었다”는 소감을 남겼습니다. 왕진수 독자도 “생각과 다르게 느껴지는 부분이 예상 외로 많았다”는 감상을 들려줬죠. 제 경우에도 원형 탈모에 영향을 ...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규칙을 찾는 그 영광을 얻기 위해 계속될 것이다. *머튼스 추측 : 복소수의 소인수분해에 관한 문제로, 머튼스 추측이 참이라면 리만 가설도 참이다. 하지만 머튼스 추측이 거짓이라고 해서 반드시 리만 가설이 거짓이 되는 건 아니다 ...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RSA 암호는 인터넷 뱅킹, 인터넷 쇼핑 등 인터넷을 안전하게 이용하는 데 쓰인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의 대명사로, 암호가 필요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러나 RSA 암호는 연산 양이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대칭키 암호처럼 단순한 연산이 아니라 큰 정수 연산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 ...
-
-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것과 관련이 있다. 소인수분해를 자연수 범위에서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만약 소인수분해를 유리수 범위로 확장하면 6 = 12 × 1/2, 24 × 1/4, 30/3 × 3/5, …과 같이 무수히 많은 경우가 생긴다. 또 자연수 범위에서 유일하게 역수가 존재하는 수가 1이다. 그래서 1은 소수에서 제외하기로 약속했다. ... ...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모든 수의 근원으로 봤다. 먼 옛날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데모크리토스는 ‘그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것’이라는 의미의 원자(atom)가 다양한 물질을 만드는 궁극의 단위라고 생각했다. 마찬가지로 소수는 다양한 수를 만드는 궁극의 단위로 여겨졌다. 과거 정수론은 실용적이지 않은 분야로 생각돼 ... ...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때문이다. 스미스의 전화번호는 4937775로, 자릿수를 모두 더한 값은 42이고, 4937775를 소인수분해한 3×5×5×65837의 자릿수를 모두 더해도 42가 된다. 스미스 수는 11, 1111111111111111111처럼 1을 반복해서 쓴 수가 소수일 때 3304, 1540, 1720, 2170, 2440, 5590 등을 곱하면 만들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른 도리가 없다. 즉 두 개의 소수를 곱하기는 쉽지만, 반대로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것은 어렵다는 말인데, RSA 암호는 정확히 이 성질을 이용한다. 암호는 푸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강력해진다.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정보는 140자리 이상의 소수를 이용해 암호화하는데 이를 ...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름 붙인다. 그런데 메르센은 n이 11일 때는 211 - 1 = 2047이고, 2047은 23 × 89 로 소인수분해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메르센은 n이 257과 같거나 작을 때, 즉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만 소수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