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촉수"(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둘이 서 있었던 땅은 촉수의 한 부분으로 바뀌어 있었답니다. “여긴 도대체 어딜까…. 촉수가 달리고, 물컹물컹한 게 마치 외계인처럼 생겼어!”한참 주변을 둘러보고 있을 때, 위쪽에선 정체 모를 알갱이들이 생기기 시작했어요. 곧 수호와 채윤이를 향해 떨어질 것만 같았지요.“으악! 저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맡은 영화 ‘우주전쟁’에 나오는 로봇처럼 생겼다. 이 로봇은 주인공을 찾아내기 위해 촉수처럼 생긴 긴 팔로 구불구불한 통로를 타고 지하실까지 침투한다. 닥터 허준의 카테터가 딱 그 모양이다. 사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하고 기다란 카테터는 수술 부위를 파고들거나 빠져나갈 수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후보영화에서는 심비오트에 감염되면 숙주의 신체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며, 촉수나 신체 변형 등 다양한 특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심비오트는 숙주의 뇌를 읽어 정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숙주의 정신을 지배하거나 숙주를 통제하려고 하기도 한다. 일단 심비오트의 가장 중요한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나아간답니다. 일리: 너희에겐 눈도 있다며?가리비: 껍데기를 조금 열면 그 틈으로 촉수와 살이 보일 거예요. 그 사이에 작은 점처럼 보이는 것도 있을 텐데 그것이 바로 저희의 눈이지요. 크기는 1mm 정도이고, 가리비 한 마리 당 약 200개의 눈을 갖고 있답니다. 눈을 이용해 주변의 포식자를 ... ...
- [과학뉴스] 배부른 먹이를 찾아라! 갯민숭달팽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색과 납작한 모양이 특징인 갯민숭달팽이는 히드라충을 갉아먹고 살아요. 히드라충은 촉수를 이용해 작은 갑각류나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지요. 연구팀은 이탈리아 시실리 해안에 사는 갯민숭달팽이와 히드라충을 실험실로 데려왔어요. 한 수조에 갯민숭달팽이와 히드라충, 동물성 플랑크톤을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땐 어쩔 수 없이 판에 박힌 상상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수수께끼의 샘플이 외계인의 촉수 조직이라는 얘기는 물론 아니었다. 꽤 비슷한 이야기이긴 했다. “요즘 ‘관벌레’ 샘플 이야기가 뜨겁다는 얘길 듣고, DNA 분석 결과를 받아 검토해 보았습니다. 상당히 놀랍더군요. 지금까지 알려진 생물 ...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복원을 잘못한건 아닌가 의심할 정도로 희한한 동물들이 잔뜩 있었거든요.새우 같은 촉수를 단 거대 포식자 ‘아노말로카리스’, 다섯 개의 눈이 오밀조밀하게 붙어 있는 생물인 ‘오파비니아’, 몸이 납작한 판과 가시로 덮인 ‘위왁시아’, 위 아래 앞 뒤 구분이 가지 않아 환각을 불러일으키는 ...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중간 형태를 하고 있어요. 짧은 몸통과 긴 꼬리, 길고 가느다란 다리와 작은 머리에 달린 촉수는 새우와 똑 닮았지요. 하지만 새우와 달리, 마치 게처럼 크고 튼튼한 집게발이 앞으로 뻗어나와 있답니다. 몸길이는 약 5cm이고, 껍데기는 붉은 빛을 살짝 띤 갈색부터 푸른색, 붉은색 등 다양하지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말미잘의 독에 적응하게 되었다는 의견도 있어요. 따라서 다른 물고기들은 말미잘의 촉수 사이사이를 자유롭게 헤엄쳐 다니는 흰동가리를 함부로 공격하지 못한답니다.즉 말미잘은 흰동가리를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고,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먹이를 유인하며 함께살아가는 거예요.▼ 확대 융합 개념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감지해 먹이를 찾아내는 능력이 있어요. 그래서 상어 그림자를 발견한 갑오징어는 촉수로 몸에 있는 구멍을 막아 전기 신호를 6μV까지 낮춘답니다. 실제로 또 다른 실험에서 상어는 10~30μV의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기계를 100% 찾아내 물어뜯었지만, 6μV까지 신호를 낮추자 50%만 찾아냈어요. 즉,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