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염
고양이 수염
촉각
d라이브러리
"
촉수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것은 상자해파리. 지금까지 100여 명이 상자해파리에 쏘여 죽었다고 한다. 상자해파리의
촉수
에 쏘이면 강력한 신경독에 의해 호흡이 곤란해지고 의식이 없어지면서 심장마비를 일으켜 5분 만에 사망한다. 하늘하늘한 몸에 이렇게 무서운 독을 숨기고 있다니 정말 놀랍다.날 먹을 자신 있어? 복어또 ...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색소를 사용하여 온몸을 붉게 물들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에 사는 문어와 갑오징어는
촉수
를 파랗고 노랗게 물들이며 암컷을 유혹하지요. 수컷 새우 또한 오렌지색 베타카로틴을 온몸에 머금고 감미로운 사랑의 몸짓을 보냅니다. 아찔아찔 향의 유혹향기를 맡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고, 의식이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입과 항문 역할을 같이하는 구멍이 있으며, 그 주변에 꽃잎처럼
촉수
가 빙 둘러 나있고,
촉수
끝에는 ‘자포’(刺胞)라는 독이 있는 쏘기 세포를 가지고 있다. 자포는 먹이를 잡거나 자신을 방어할 때 쓰인다.산호는 밤에 은밀하게 산란한다. 대낮에는 산호초 주변에 사는 물고기가 알을 잡아먹기 ... ...
4억년 전 생존경쟁 증거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촉수
같은 팔이 수십개 달려있는 극피동물인 바다나리의 화석을 비교해 4억년 전 무렵의 해양생태계 급변을 입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식물처럼 착생인 바다나리는 종종 천적에게 팔을 뜯어 먹히는데 재생력이 뛰어나 그 자리에서 다시 팔이 자란다.화석을 분석한 결과 초기 고생대인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보조기억 이외에도 PC나 핸드폰 등이 눈과 귀가 돼 인터넷이라는 세계에 대해 기억의
촉수
를 뱉는다. 새로 개업한 주유소나 편의점을 기억하는 일을 운전자 대신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해주는 것이다. 기억은 이처럼 그 한계점을 네트워크 너머로 밀어낸다. 무한 팽창하는 하드디스크와 이를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복수를 하는 집단이 아닐까 생각되네요.강박사_ 오무가 영적인 곤충으로 나오지 않나요.
촉수
같은 것이 나오면서 그 사람에게 뭔가 과거를 회상시켜 주는 능력을 갖고 있는 상징적인 곤충으로 나오는 것 같아요.성환_ 전지전능한 수준의 능력을 발휘하려면 한마리만 그런 능력이 있어야 하는 것 ... ...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2개의 큰 산개성단 M6과 M7이다. 위쪽의 M6은 6등급에서 10등급 사이의 별들이 곤충의
촉수
같은 V자 모양의 별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잠자리 모습과 닮았다. M7은 5-6등급의 별만도 5개나 모여있어 맨눈으로는 성운처럼 보이는데, 6인치 망원경으로 배율이 40배 정도면 플레이아데스 이중성단 만큼이나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가장 적당한 산개성단이다. M6은 6등성에서 10등성 사이의 별들이 50여개 보인다. 곤충의
촉수
같은 V자 모양의 별무리를 이루어 잠자리 모습과 더 닮았다.M7은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천체로 남중고도가 서울 17도, 부산 20도에 불과하다. ‘알마게스트’에도 성운으로 기록됐을 만큼 ... ...
외계인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지구에 외계인이 본격적으로 발(또는
촉수
)을 딛은지 꼭 1백주년이 되는 해다. 1898년 화성인들은 엄청나게 큰 깡통을 타고 날아와서 지구에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영국 작가 H.G. 웰스가 '우주전쟁'에서 자세하게 묘사한 이 사상 최초의 외계인 침공부대는 지구에 대한 사전 조사를 게을리하는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머리에 달린
촉수
가 근육에 보내는 전기적 신호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이들은 나방의
촉수
뉴런에 전극을 달아 신호를 증폭시켰다. 그리고 다음에는 페로몬을 제거한 뒤 전극을 통해 근육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보았다. 그러자 나방은 이 인공 자극에도 페로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하며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