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정적
NAND
뉴스
"
낸드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진실을 찾는 사람들' 국과수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공유한다. 2부에서는 SK하이닉스 임직원의 강연과 진로상담이 진행된다. SK하이닉스에서
낸드
메모리 설계를 담당하는 임직원이 연사로 나서 엔지니어로서 어떤 일을 하는지 소개한다. 사전 질문과 실시간 댓글을 통해 받은 학생들의 질문에 강연자가 답을 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 ...
韓 반도체 위상 긴급진단…“메모리 위상 흔들, 시스템 반도체에만 투자할 때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기술력 측면에서 한국이 1등인지에 대해 물음표”라며 “미국 마이크론이 176단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기 시작했으며, 4세대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D램도 처음으로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이같은 현상에 대해 1위 기업이 기술력에서 한 발 더 앞서 ... ...
삼성전자, 휴대폰·TV 덕에 1분기 실적 날았다…반도체는 부진(종합)
연합뉴스
l
2021.04.29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한다. D램 가격 상승세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최근
낸드
플래시 가격도 상승 전환하면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서버와 소비자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수요가 늘고 하반기부터는 각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지면서 데이터센터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아직 상용화하지 않은 ‘나노와이어 FET’ 반도체나 ‘
낸드
플래시’ 소자를 직접 기증받아 측정과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저온에서 동작할 때 나타나는 특이 성능과 트랜지스트럴 서로 연결하는 금속 라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머신러닝을 활용한 반도체 ... ...
CES 휩쓴 한국 기업들…'혁신상' 삼성 44개·LG 24개 석권(종합)
연합뉴스
l
2020.12.16
반도체 부문에서는 스마트 SSD 4TB(테라바이트), 10나노급 12GB LPDDR5 모바일 D램과 6세대 V
낸드
기반 256GB UFS를 결합한 uMCP(멀티칩 패키지), LED 조명 솔루션 LM283N+ 등이 혁신상에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내달 11∼14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CES 2021'에서 '모두를 위한 보다 나은 일상(Better Normal for All) ... ...
후발기업들 신기술 개발에…쫓기는 메모리반도체 1위 삼성전자
연합뉴스
l
2020.11.12
인텔의 기술력을 앞세워 현재 1위인 삼성전자를 제칠 가능성도 있다. 내년부터
낸드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누가 먼저 앞선 기술력을 공개해 분위기를 선점하느냐를 놓고 홍보 다툼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며 "결국 시장을 ... ...
인텔에 밀리고, TSMC에 쫓기고…갈길 바쁜 삼성전자 반도체
연합뉴스
l
2020.07.27
신형 CPU가 출시돼야 서버업체 등이 사양을 업그레이드하면서 함께 구동할 고성능 D램과
낸드
구매도 늘리기 때문이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텔은 여전히 서버용 CPU 시장에서는 90%가 넘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어서 당장 신제품 출시 지연 등으로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받는 ... ...
2020년도 '기술경영인상'에 홍성주 SK하이닉스 부사장 등 9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10nm DRAM 시대를 열었다. 또 세계 최초의 72단 3D
낸드
(NAND) 기술을 상용화해 본격적인 3D
낸드
사업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신기술과 신제품을 개발해 국가 산업 기술 발전에 기여한 중소기업 CEO를 선정하는 중소기업 CEO 분야에는 6명의 수상자가 선정됐다. 류재경 벡스코 대표는 한국 ... ...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500테라비트(Tb)를 손톱 크기에 저장할 수 있는 수준이다. 연구팀은 현재의 D램이나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대체할 차세대 후보로 꼽히는 '강유전체 메모리(F램)'에 주목했다. F램은 전기를 가하면 원자 위치가 바뀌는 강유전체 현상을 이용해 정보를 기록하고 읽는 원리다. 전원을 꺼도 정보가 ... ...
수출효자
낸드
플래시 수율 향상·항공부품 국산화 기여한 엔지니어들 6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50%대에서 90%로 높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공로가 인정됐다. 초기의 2차원
낸드
플래시 개발 때에는 좁은 저장 공간 때문에 간섭 현상이 일어나 불량이 많이 발생했던 기존 식각 공정 대신 플라스마 공정을 적용해 불량률을 떨어뜨렸다. 이 팀장은 “반도체는 수천 명이 함께 개발하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