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뉴스
"
주로
"(으)로 총 4,38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다. 그동안 3차원 나노구조는 3D프린터를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이
주로
연구됐는데, 이 방법은 잉크로 쓸 수 있는 재료에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공동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과 유기물 등 소재에 재한 없이 원하는 3차원 미세 구조를 빠르고 손쉽게 만들 수 있다. ... ...
전국 뒤 흔든 구제역은 ‘변종’, 백신 효과 없나
2015.01.11
중 하나로 방역당국은 접종 소홀 등으로 항체 형성이 제대로 안된 돼지에서 구제역이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많은 가축을 기르다 보니 양을 줄여서 접종을 하거나 건너뛰는 등 제대로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는 것. 정부 구제역 예방주사를 접종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고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것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어 최근에는 전파를 활용하는 탐지법이
주로
사용된다. 전파는 대기 중에서는 수백 km 이상 멀리 뻗어나가지만 땅이나 물 속에서는 수십 m 수준으로 급격히 소멸된다. 하지만 화강암의 경우 최대 30m까지 전파가 전달된다. 전파의 이런 특성을 활용한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그래서 쿠루와 식인풍습의 연관성을 의심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이두섹 박사는 쿠루에
주로
걸리는 여자와 아이들이 죽은 사람의 뇌를 먹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쿠루의 원인은 먹어서 전염되는 내 속에 있는 병원체, 즉 ‘프리온’이라는 단백질이었습니다. 암 세포는 세포 분열을 통해 새로운 ... ...
조울증, 결국 뇌세포가 원인이었어!
2015.01.06
학자들이 주목한 적이 없는 부위여서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주로
전두엽 부위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만약 소뇌에서 일어나는 뇌세포 대사활동이 조울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면 조울증 치료제로 쓰이는 리튬을 대신할 물질을 찾는 데 도움을 줄 ... ...
배부른데 살 빠지는 ‘진짜’ 다이어트약 개발
2015.01.06
마치고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고 ‘네이처 메디슨’ 5일자에 발표했다. 간과 장에
주로
분포한 담즙 수용체(FXR)는 섭취한 음식물을 통해 자극을 받으면 소화를 돕기 위해 담즙을 분비하고 혈당을 조절하며 지방을 연소하는 과정에 관여한다. 이런 기능 때문에 이전부터 여러 제약회사에서는 ... ...
‘21세기 흑사병’ 에볼라 1년… 7588명 사망, 1976년의 18배
동아일보
l
2014.12.26
있다. 에볼라는 지난 30여 년간 콩고 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 중부지역에서
주로
발생한 탓에 서아프리카는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아프리카 공통의 열악한 위생 상황과 서구식 의료서비스에 불신이 더해지면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은 것이다. WHO의 초기 대응 실패로 사태가 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물론 db유전자 역시 콜맨의 예상대로 렙틴 수용체를 암호화했다. 흥미롭게도 렙틴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만들고 db유전자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발현된다. 즉 식욕은 에너지 상태를 파악한 몸이 주는 정보를 토대로 뇌가 판단을 내린 결과라는 말이다. 렙틴의 발견은 지방조직이 단순히 여분의 ... ...
[이게 궁금해요]로타바이러스 장염 탈수 위험… 아기 8시간 소변 안보면 병원가야
동아일보
l
2014.12.22
중 하나입니다. ‘이 겨울에 웬 장염?’ 하고 생각할 수 있지만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주로
날씨가 쌀쌀한 겨울철과 봄철에 유행합니다. 겨울에는 아이들이 야외 활동보다 놀이방 등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지요. 그러다 보니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되는 로타바이러스 같은 ... ...
로봇치료·3D프린트·암新藥… 대학병원, 미래를 연다
동아일보
l
2014.12.17
제품을 찍어내는 기계다. 일반 문서 출력 프린터의 3차원 버전인 셈. 3D 프린트 기술은
주로
성형외과에서 이용돼 왔다. 골절 환자의 뼈 단면을 맞추는 수술, 양악 수술 전에 모의 수술에 이용됐다. 최근에는 3D 프린트 기술로 만든 인공기관을 인체 안에 집어넣는 프로젝트도 진행됐다. 포스텍 조동우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