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뉴스
"
주로
"(으)로 총 4,387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으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과학동아
l
2014.11.25
새로 이식해야 한다. 설계철학도 다르다.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 PC와 달리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더욱 특별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는 자신만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을 전문가로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수동으로 정제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대량생산 등이 어려워 시제품 제작 등에
주로
쓰였다. 대량 생산의 단초가 되는 연속방식 기술은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연구팀은 전기장이 발생하면 양자점이 이를 따라 움직이는 성질이 있다는 점에 착안해 양자점 합성 원액과 양자점 분리를 위한 ... ...
끊김없는 한국형 영상회의 기술개발
2014.11.16
기가코리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기존 영상 회의 시스템은
주로
외산 하드웨어 위
주로
구축돼 있어 고가인데다 문제가 생기면 신속한 유지보수가 힘들었다. ‘기가 큐릭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돼 쉽게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맞출 수 있으며 유지 보수도 쉬운 장점이 있다. 특히 이 영상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번개가 12% 가량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전까지 번개를 예측할 때는
주로
강우율이라는 지표를 활용했다. 강우율은 시간당 땅에 떨어지는 비의 양을 측정한 값으로, 대기의 상태를 알려 주는 간접적인 지표다. 하지만 이를 통해 예측한 번개 증가량은 편차가 너무 컸다. 예를 들면 평균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KIST) 선임연구원은 3색 퀀텀닷을 접목한 태양전지를 개발 중이다. 기존 유기태양전지는
주로
자외선(UV) 파장을 흡수하지만 퀀텀닷을 이용하면 태양빛의 거의 모든 파장을 흡수할 수 있다. 손 연구원은 “붉은색 퀀텀닷을 유기태양전지에 붙여 기존 유기태양전지보다 효율을 20% 이상 높였다”고 ... ...
무엇이 그를 길들였나
2014.11.11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를 진행한 웨슬리 워런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이들은
주로
보상, 기억 등 뇌 속 신경세포 기능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라며 “야생동물이 사람의 집에 있는 음식을 먹다가 가축이 됐다는 기존 가설과 잘 맞아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GRIA1은 뇌 속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작은 키 등의 증상을 보이며 환자의 30~50%에게서 학습장애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주로
증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을 뿐 학습능력이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이 질환에 걸린 환자에게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PTPN11)를 생쥐에게 적용해 이 돌연변이가 학습과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발표했다. 이전에도 그래핀을 입체구조로 만들기 위한 노력은 계속 있었다. 하지만
주로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원하는 모양을 만들기가 어렵고, 일단 입체구조로 만들어도 다시 2차원 평면구조로 돌아가려는 습성이 강해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먼저 고출력 반도체 소자에 흔히 쓰이는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구성 성분에 변화를 주면 변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동안 종이접기 로봇은
주로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이용해 만들었다. 하지만 형상기억합금은 금속인 만큼, 몸속에 넣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 로봇의 소재인 하이드로겔은 인체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나준희 ... ...
몸속 물질 모방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3일 밝혔다. 지금까지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소재에는 코발트나 망간 등 전이금속이
주로
쓰였다. 하지만 전극 무게를 높인다는 점에서 고용량 전지를 만드는 데 한계로 작용했고 생산이나 재활용 과정에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연구진은 친환경적인 전극소재를 찾던 중에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