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10. 사고율 제로에 도전한다 충돌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세계 최고를 자부하는 볼보의 컨셉트카다. 내부에 부착된 센서가 운전자의 눈의
위치
를 감지해 자동으로 시트, 스티어링 휠, 미러, 페달, 변속기, 계기판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췄다. 다른 차가 운전자의 사각에 있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고성능 백미러가 돋보인다.현재 국내에서도 ... ...
초신성 시나리오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못했다.요크대 물리·천문학과 노버트 바텔 교수팀은 1986년 폭발한 초신성 1986J의
위치
에서 최근 새로운 천체의 존재를 확인했다. 바텔 교수는 “초신성 폭발의 잔해가 흩어지자 가려졌던 뜨거운 중심부가 모습을 드러냈다”며 “우리는 지금 교과서에 나온 스토리를 최초로 목격하고 있는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페름기의 신적사암(新赤砂岩)과 대응되는 말이다 특정한 지층면이 지하에서 어떤 공간적
위치
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보여 주는 일종의 지질도(地質圖) 원리는 지형도에 등고선을 그리는 것과 같다 탄층(炭層) · 응회암층(凝灰岩層) 등 전체의 구조를 잘 드러낼 수 있게 분포된 건층(鍵層) 윗면이나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공급되는 양분과 안락한 서식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뿌리 주변에서는 좋은
위치
를 선점하기 위한 미생물간에 치열한 싸움이 벌어진다. 그 결과에 따라 식물 생육에 중요한 결과를 미치게 되는 것이다. 얼마나 뿌리에 잘 정착하느냐는 생물농약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심전도만으로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
를 알아내는데 한계가 있다. 심장 자기장 분포인 심자도가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심자도 측정에도 뇌자도와 마찬가지로 고감도 자기센서를 이용한다. 단 심자도를 측정할 때는 바닥이 평평한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매우 밝다. 그래서 오히려 성운을 보기 어렵다.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성운의 위쪽에
위치
한 두 별이다. 이 두 별이 독수리의 눈을 이루고 있다. 이 두 별로 인해 독수리성운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밝은 별 주위로는 뿌연 구름같은 성운의 존재가 감지되지만 배경과의 경계는 다소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6월 21일 미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
위치
한 에드워즈 공군기지에는 새벽부터 수천명이 나와 웅성거리고 있었다. 오전 6시45분(한국시간 밤 10시45분), 사막의 모래바람을 일으키며 거대한 종이비행기처럼 생긴 비행체가 활주로를 가르며 날아올랐다.‘ 백기사’ (White Knight)라는 근사한 이름의 이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추가령단층계에 홍성이 놓여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이번 지진으로 경상도 동해안에
위치
한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원래 원자력발전소는 활성단층이 없는 안정한 지각 위에 지어져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오히려 단층들이 모인 지역에 세워졌기 때문. 이에 대해 ... ...
토종 검색엔진 달고 훨훨 나는 NHN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반열에 오르려면 아직도 갈길이 멀고 험하다. 네이버의 검색기술은 국내에서는 독보적인
위치
를 차지하고 있지만 세계 최고의 검색엔진인 구글이 한국 상륙을 넘보고 있다.이에 맞서 NHN 검색개발팀 50명은 세계 최고의 검색엔진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정보검색 대가들이 많이 포진하고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실험 운영자 이철현 박사의 얼굴이 나타나자 헤드셋을 착용한 학생이 시료를 바꿔 달라,
위치
를 조정해 달라며 여러가지 주문을 했고, 제주-대전간 사이버 공동 실험이 진행됐다. 실시간 화상으로 얼굴을 보며 문자 통신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실험하는 것이 아니라 화상 채팅을 하는 듯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