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어도 자주 쓰는 '팔'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팔’ 이 있는 것이다. 또 이런 ‘팔’ 은 주로 문어의 몸 앞쪽에
위치
한 다리인 경우가 많았다. 몸 뒤쪽 다리는 주로 이동할 때 사용해 말 그대로 ‘다리’ 처럼 썼다.뷔르네 교수는 문어가 이런 성향을 보이는 것이 눈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했다. 문어는 두눈을 모두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전산모사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수소가 탄소와 결합하는 형태부터 수소의 안정한
위치
를 찾아내고 반응 속도까지 계산할 계획이다.또한 이러한 전산모사 결과에 근거해서 탄소나노튜브에 수소를 담을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 제조와 제어 기술도 함께 개발할 예정이다. 현재 탄소나노튜브는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문제가 없다고 한다.육상에서 터널을 발파할 경우에는 인접 지역 목장이나 양식장의
위치
가 고정돼 있어 가축, 어류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해 발파 진동으로 인한 피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해저에서는 어류 등 해저 생물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설사 발파에 의한 진동이 있더라도 이를 피할 수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공급되는 양분과 안락한 서식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뿌리 주변에서는 좋은
위치
를 선점하기 위한 미생물간에 치열한 싸움이 벌어진다. 그 결과에 따라 식물 생육에 중요한 결과를 미치게 되는 것이다. 얼마나 뿌리에 잘 정착하느냐는 생물농약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애용되는 방식이 소리를 사진으로 표현하는 음향홀로그래피기법이다. 정확한 음원의
위치
와 소리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시간과 거리에 따라 파형이 바뀌는 모양을 카메라로 촬영한 것처럼 영상으로 표현한다. 이 기술을 소음 분석에 사용하면 소음의 특성을 눈으로 보면서 좀더 정확한 해결책을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보이는 벌레성운의 역동적인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됐다. 남쪽 하늘 전갈자리에
위치
한 벌레성운은 지구에서 대략 4천광년 떨어져 있다.성운의 화려한 운무는 수명이 다해가는 별이 내뿜는 가스와 먼지가 빛을 산란시켜 연출된 것이다. 나비가 연상되는 벌레성운의 나비 몸통에 해당하는 곳에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현존하는 3대의 편경은 성종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편경이 아악에서 차지하는
위치
가 중요했기 때문에 조선초 문물을 정비했던 세종대왕은 국가사업으로 편경을 제작했다. 그전까지는 중국에서 수입한 것이나 벽돌을 구어 만든 와경을 사용했다. 편경을 만드는데는 음률을 정할 수 있는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태양은 오후 7시 52분에 진다. 따라서 태양이 지는 순간에도 여전히 금성은 태양면 속에
위치
해 있다. 즉 금성일면 통과 현상이 진행돼 상태에서 해가 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녁 7시 무렵 일몰 직전이 아마 가장 관측하기 편리한 시점이 아닐까.이날 금성은 지구와 가장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금성이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보이는 별자리 1751년 라카유가 남쪽 하늘에 신설한 14별자리 중의 하나로서 대략적인
위치
는 적경(赤經) 10h0m, 적위(赤緯) -35˚이다 동력원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권양기(捲揚機) 호이스트로는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식이 보통이지만, 탄광 등 폭발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전기불꽃이 위험하므로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쯤이면 위성사진은 전자지도제작이나 3차원 공간정보,
위치
정보시스템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항공사진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3-7개 정보에 불과한 현재 수준에서 벗어나 2백개 이상의 분광영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고성능 분광센서도 조만간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