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0nm로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 두께(7nm)보다 크다.그래서 연구단은 효소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
인 활성부위만 모방한 뒤 인공효소를 만들어 그곳에서 일어나는 화학작용을 연구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예를 들어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어떻게 세포에 전달하는가를 연구하려면 헤모글로빈의 활성부위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7명은 어떤 학창시절을 보냈을까.생체 모방연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학술
부분
수상자 남원우 교수는 일요일 아침마다 ‘우주소년 아톰’과 ‘마징가 제트’를 보느라 텔레비전에서 눈을 뗄 줄 모르던 소년이었다.그는 “과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뒤 항상 내가 세계 최고가 된 것처럼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평형이 관여한다. 제시문 (나)의 밑줄 친 문장 같이 몸속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대
부분
은 HCO3- 형태로 혈액에 녹아 있다. 이유를 제시문을 참조해 설명하라. (단 -logKa1=6.3, -logKa2=10.3) 2) 적혈구에서 생성된 수소이온이 적혈구 막을 통과해 혈장으로 나온다면 격한 운동을 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병에 약으로 쓰기도 했어요. 쌍꼬리부전나비●가작/안홍균쌍꼬리부전나비는 날개 뒷
부분
에 더듬이처럼 보이는 꼬리가 달려 있어서 앞뒤가 헷갈려요. 이 꼬리는 적으로 하여금 머리와 꼬리를 착각하게 해서 머리를 보호해 준답니다. 왜가리 형제의 먹이 쟁탈전●입선/양치소왜가리는 바닷가나 ... ...
신비한 토성의 오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왔습니다. 사진에서 푸른 색
부분
이 토성의 북극 지역에 넓게 나타난 오로라이고, 붉은색
부분
은 그 아래에 있는 토성 대기의 열기랍니다.지구의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온 전하를 띤 입자가 지구 대기층과 반응해 만들어지지만, 토성의 오로라는 그 원리가 다르다고 해요. 과학자들은 이번 토성의 ... ...
반짝반짝 빛나라! 조명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네 말을 들으니 조명의 앞날은 정말 밝은 것 같아.응. 하지만 밝은
부분
이 있으면 어두운
부분
도 있는 법! 조명의 세계에도 걱정거리가 있어.빛도 공해?빛 공해라는 말 들어봤니? 빛 공해란, 어두워야 할 밤이 너무 많은 조명들 때문에 정작 어둡지 못해 생기는 문제를 일컫는 말이야.밤에도 눈부시게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공룡과 원시 조류인 시조새의 두개골을 CT스캔했어. 그 결과 티라노사우루스 렉스는 뇌 앞
부분
에 커다란 후구를 갖고 있어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었을 거라는 결론을 얻었지. 뛰어난 후각은 밤에 공격하거나 넓은 지역에서 먹이를 찾을 때 유용했을 거야.또 작은 육식공룡에서 진화했다고 알려진 ... ...
웅웅~, 사막이 노래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21세기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사람이 생겼죠. 그래서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
도 있답니다. 앞으로 연구가 더 이루어지면 훨씬 정확하게 원인을 알 수 있을 거예요.”그 때 갑자기 수비 자레타가 울부짖는다.“이럴 수가~! 우리가 소중하게 여겨 오던‘노래하는 사막’이 전혀 신비롭지 ...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발견했지요.”“이런 강을 감조하천이라고 합니다. 강이 바다로 흘러나가는 하류
부분
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받습니다. 특히 이 동네처럼 경사가 완만하고 큰 강 유역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 받는 구간이 크고 길지요. 그래서 조석 현상에 따라 강물의 염분, 높이, 흐르는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등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려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설명은 대
부분
단순하고 명확하다. 인간은 보통 단순한 설명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복잡한 현실보다는 단순한 음모론을 선택한다.음모론에 대한 믿음이 너무 굳어지면 신앙이 되기도 한다. 이런 상태가 되면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