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 채워 넣기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동그라미 속에 들어가는 숫자입니다. 그림의 오른쪽에 있는 숫자 중 화살표 오른쪽
부분
은 왼쪽에 있는 숫자가 들어있는 동그라미와 선으로 이어진 동그라미 속에 들어있는 모든 숫자를 합한 수입니다. 예를 들어 ⑤⇒ 6의 ‘6’은 ‘5’가 들어있는 동그라미와 선으로 연결된 모든 동그라미 속의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아기 사진과 흉측한 모습의 아기 사진을 동시에 보여주고 호감도를 물어보면 사람들은 대
부분
싫다고 대답한다. 긍정적인 자극과 부정적인 자극이 동시에 주어지면 부정적인 정서가 나타나는 이런 현상은 ‘부정편향’이라고 부른다. 이 두 현상은 감정에 대한 반응이 즉각적이지 않기 때문에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식물 단백질의 결정을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다. 1984년 박사과정에 들어가서는 RNA의 특정
부분
을 자르는 RNase T1이라는 효소의 유전자를 화학적으로 합성해 대장균에서 발현시키는 연구에 뛰어들었다.“한 2년 열심히 실험하고 있는데 일본 연구진이 같은 주제의 연구결과를 실은 논문을 냈습니다. ... ...
평가기준 분석이 논술 준비의 핵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최상위권 학생의 경우 평소 논술 준비에 시간을 다소 할애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
부분
의 학생은 현실적으로 수능을 우선할 수밖에 없고 이는 논술 준비기간을 단축시켜 2차 전형에서 경쟁력을 잃게 된다. 이런 혼란은 논술과 수능을 별개의 전형으로 인식하는 데 원인이 있다.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물고기라 해서 날치라 이름이 붙었지요.”닥터고글은 친절하게도 어류도감의 날치
부분
을 찾아서 다나카 군에게 보여 준다. 하지만 자존심 강한 다나카 군은 고개를휙돌리며 애써 외면한다. 옆에 있던 강태공 군은 내심 궁금했는지 닥터고글에게 질문하기 시작한다.“그럼 날치도 말뚝망둥어처럼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저 아래 습지가 그림처럼 펼쳐져 있다. 물이 노출 된
부분
과 송이고랭이가 자라고 있는
부분
이 마치 지도의 바다와 육지처럼 나뉘어 있다. 습지 너머로 눈을 향하자저 멀리 오름들이 봉긋봉긋 솟아있는 모습이 귀엽고 아득히 바다가 들어온다.“멋진 풍경이군요. 여기서 사진만 찍어도 계절별,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공룡을 구현하고 나서 걷거나 달릴 때 무게중심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살피며 이상한
부분
을 수정한다”고 설명했다.공룡의 질감도 중요하다. 박성배 팀장은 “타르보사우루스는 악어처럼 단단하고 거칠게, 벨로키랍토르는 도마뱀처럼 날카롭고 윤기 있게 각각 질감을 표현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더 큰 문제도 남았다. 우리가 감시하는 지구접근천체들은 대
부분
태양계 내부소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인 해왕성 바깥에도 그 개수를 가늠할 수 없는 수많은 소천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이퍼벨트 천체로 불리는 이들은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다. 하지만 냉각DSLR은 본체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그래서 천체사진을 찍는 사람들 대
부분
은 가볍고 색감이 풍부한 천체사진용 ‘냉각CCD’를 사용한다. 냉각CCD는 CCD에 냉각장치를 붙인 게 전부인 장치로, 망원경 접안부에 연결해 사진을 촬영한다. 냉각CCD는 보통 카메라처럼 큰 몸체나 셔터도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위해서는 동력을 만들어내는
부분
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부분
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부분
을 부착하면 마이크로머신이라든가 나노바이오로봇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기계의 부피는 커질 것이다. 여기에 와이트리시티 기술을 활용해 외부 자기장에 공명할 수 있는 소형화된 연료 공급장치를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