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자기장 속 입자의 움직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많이 느려서 상대론적 효과를 무시할 수 있다.)2) 편향계는 전자의 운동을 조절해 원하는
부분
에 전자가 도달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자의 운동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라.전문가 클리닉1) 전압 V에 의해 전자가 가속될 때 전기장이 전자에 한 일을 생각하고 이 일이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신 박사는 사고조사위원회의 일원으로 파견돼 항공기의 날개
부분
결빙이 사고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일을 계기로 사고 기종과 비슷한 항공기 전체에 결빙 방지 조치가 취해졌고, 겨울철 항공기 사고율은 크게 줄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신 박사는 입사한 지 ... ...
LHC, 왜 멈췄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감당하지 못해 녹았다”고 설명했다. LHC가 아주 거대한 냉장고라면 LHC의 전력 공급
부분
이 고장 난 셈이다.더 큰 문제는 이 사고로 액체 헬륨이 대량 새어나왔다는 점. 사고 당시 액체 헬륨이 1t가량 흘러나온 것으로 알려졌지만 노 박사는 “액체 헬륨 2t이 유출됐다”고 밝혔다.액체 헬륨이 ... ...
종이 없는 지구의 주인, 전자문서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검증 과정에서 이를 검출하도록 한다. 만약 조금이라도 원래 그림에서 변경된
부분
이 있으면 그 문자는 검출되지 않아 그림이 원본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전자서명은 공개키기반(PKI) 방식으로도 불린다. 공개키기반 방식은 개인키(비밀키)와 공개키가 한 쌍을 이뤄 개인키로 서명한 내용을 공개키로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물방울의 상단
부분
과 하단
부분
에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한다. 윗
부분
에서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 중 변화하는 힘은 표면장력뿐이다. 표면장력(Fs)은 경계면에서 힘의 크기와 방향이 바뀐다. 질량이 증가하면 중력이 증가하고 θa의 크기가 커지면서 접촉면을 위쪽방향으로 끌어 ... ...
[수학]특이적분과 개념함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또 같은 깊이에 있는 모든 유체는 같은 압력을 받는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유체의 그
부분
이 평형상태라고 볼 수 없다.댐을 설계할 때는 댐이 받을 힘을 계산해야 한다.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모양의 댐에서 수위가 댐의 꼭대기로부터 4m일 때 수압으로 인해 댐에 가해지는 힘을 구하라. (단 물의 ... ...
닭들이 조류독감에 걸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382명이 조류독감에 걸려 그 중 241명이 숨졌지요. 하지만 위생상태가 나쁜 나라가 대
부분
이었고, 우리나라를 비롯해 위생 상태가 좋은 나라에서 사람이 감염돼 사망한 경우는 아직 없어요.”그 사이 정성만 씨는 닭에게 먹이와 물을 챙겨 준다. 그런 정성만 씨를 바라보며 설명을 계속하는 닥터고글 ... ...
“생각대로 하면 되고~♪” 마음 읽는 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시스템은 무겁고 전기도 많이 필요해서 일상생활에 쓰기 어렵다고 알고 있어요. 그런
부분
이 해결된 건가요?맞아요. 이 모자에 이전의 뇌-컴퓨터 접속 시스템을 그대로 쓰긴 어려웠어요. 그래서 센서의 크기와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 개발했답니다. 이 모자는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를 ... ...
지구의 지배자,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적응할 수 있는 뛰어난 기능을 많이 갖추고 있어요.개미의 몸은 머리와 가슴과 배의 세
부분
으로 나누어져 있어요. 머리에는 고성능 안테나 역할을 하는 한 쌍의 더듬이가 있지요. 머리 양 옆에는 커다란 겹눈이 자리잡고 있고 이마에는 홑눈 세 개가 삼각형을 이루고 있어요. 집게처럼 생긴 턱은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서울대공원 사이에 멋지게 내려앉은 미래 비행체 형상을 한 국립과천과학관. 비행체 앞
부분
에 해당하는 정문으로 들어가면 1층 오른편에 자리한 기초과학관에서 인공 번개를 만드는 ‘테슬라 코일’을 만날 수 있다.테슬라 코일은 세르비아계 미국인 전기공학자 니콜라 테슬라가 19세기 말에 발명한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