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리본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우주를 떠다니고 있는 이 예쁜 리본은 무엇일까요? 미국항공우주국에서 7월 1일 공개한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초신성의 찌꺼기예요. 이 초신성 찌꺼기는 1000년보다 더 오래 전에 별이 폭발하면서 생겼는데, 그 가운데 아주 얇은
부분
을 허블 망원경이촬영한 거랍니다. ...
자연의 오선지 위에 그린 초록 교향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들어 보세요.1악장 노래하듯이~Adagio cantabile~와! 양치식물의 새싹이에요. 바이올린의 머리
부분
같기도 하고 여러 가지 관악기나 타악기가 생각나기도 해요. 어린 양치식물은 이렇게 여린 줄기가 가늘게 돌돌 말린 모양을 하고 땅 위로 고개를 든답니다. 그런 다음 잎을 활짝 펼치는 거지요. 2악장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비교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Q특수 분장으로도 감추기 힘든
부분
이 있나요?A노홍철 씨의 독특한 말투, 표정, 눈빛, 손동작은 마스크로 가릴 수 없겠죠? 연기자가 특수 분장을 해도 목소리, 걸음걸이, 버릇 등 특징적인 행동은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사람들이 누군지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아기 사진과 흉측한 모습의 아기 사진을 동시에 보여주고 호감도를 물어보면 사람들은 대
부분
싫다고 대답한다. 긍정적인 자극과 부정적인 자극이 동시에 주어지면 부정적인 정서가 나타나는 이런 현상은 ‘부정편향’이라고 부른다. 이 두 현상은 감정에 대한 반응이 즉각적이지 않기 때문에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공룡을 구현하고 나서 걷거나 달릴 때 무게중심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살피며 이상한
부분
을 수정한다”고 설명했다.공룡의 질감도 중요하다. 박성배 팀장은 “타르보사우루스는 악어처럼 단단하고 거칠게, 벨로키랍토르는 도마뱀처럼 날카롭고 윤기 있게 각각 질감을 표현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식물 단백질의 결정을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다. 1984년 박사과정에 들어가서는 RNA의 특정
부분
을 자르는 RNase T1이라는 효소의 유전자를 화학적으로 합성해 대장균에서 발현시키는 연구에 뛰어들었다.“한 2년 열심히 실험하고 있는데 일본 연구진이 같은 주제의 연구결과를 실은 논문을 냈습니다.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최고에요.” 송 교수는 20년 지기 필름카메라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1997년 3월 9일
부분
일식 때 찍은 사진입니다.” 그는 연구실 벽에 걸린 사진 한 장을 가리켰다. 인사동 갤러리 전시 때 공개한 대표작이다. ‘해가 있는 밤’이란 제목이 눈에 띈다. 역설적인 표현이다. 해를 찍기 위해 투과가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위해서는 동력을 만들어내는
부분
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부분
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부분
을 부착하면 마이크로머신이라든가 나노바이오로봇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기계의 부피는 커질 것이다. 여기에 와이트리시티 기술을 활용해 외부 자기장에 공명할 수 있는 소형화된 연료 공급장치를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얼음이 녹아 생긴 물에 염화칼슘이 녹으면 발열반응이 일어나 주변 얼음까지 녹는다. 대
부분
고체의 용해과정은 주변 열을 흡수하는 흡열반응이다. 주위 온도가 높으면 열을 흡수하기 쉬워 용해가 잘 일어난다. 뜨거운 커피가 아이스커피보다 고체 설탕을 빠르게 더 많은 양 녹일 수 있는 이유다.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이와 같은 맥락일까. 연구단에는 실험기기가 여럿 있는데 대
부분
학생들이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자기가 원하는 실험을 할 수 있는 장비를 직접 만들어봐야 그 원리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다는 것. 혹시 비용을 조금이라도 더 아끼기 위해서는 아닐까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