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는 1990년 연안지역 관리 연구그룹(CZMS)을 만들어 해수면 상승의 대비책을 크게 세 종류로 구분했다. 먼저 방파제나 방조제 같은 해안 제방을 세우는 ‘방어’ 전략이 있다. 수상도시를 건설하고 농지를 양어장으로 바꾸는 식의 ‘수용’ 전략, 바닷물이 넘어올 수 있는 범위에 후퇴선을 설정해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후후…, 앞에서 김민형 교수님이 얘기한 알쏭달쏭한 수수께끼에 바로 답이 있군! 최고의 수는 세상 어디에나 있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수라고 ... 않아요. 하지만 데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은 거짓말을 만들어낼 수도 있어요.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숫자를 읽을 줄 알아야 해요 ...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분류할 수 없다”는 팁을 알려주셨답니다. 알아보자! 500원이야? 500엔이야? 동전을 구분하라! 1982년, 일본은 500엔 동전을 처음으로 발행했어요. 그 당시의 500엔 동전은 구리와 니켈을 섞은 백동으로 만들어졌고 이후 구리와 아연, 니켈을 섞은 양은 동전으로 바뀌었지요. 500엔의 재질이 바뀐 이유는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바뀌었다”며 “이 차이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을 구분하는 특징이라 추측하고 있지만 보이저 탐사선이 태양권계면에서 수십 광년밖에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보이저 2호의 관측 결과로 태양권계면을 벗어나자 ... ...
- [특집] 너무 매력적이어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고양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그 결과, 연구팀은 200~300년 안에 야생고양이와 집고양이의 유전자가 섞여 두 종을 더는 구분할 수 없을 거란 결론을 내렸어요. 특히, 개체 수가 적은 야생 고양이의 유전자 보존이 더 위협을 받는다고 설명했지요. 스위스에는 100만 마리가 넘는 집고양이가 있지만, 야생고양이는 몇 백마리에 ... ...
- [출동!기자단] 지니와 함께 KT AI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구분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학습을 마친 AI 지니는 두 독자 기자의 얼굴을 구분하고 인식해 친구들을 깜짝 놀라게 했답니다. 코딩블록을 쌓아 강아지 애니메이션을 만들자!AI 지니는 이름을 불러 호출한 뒤 명령을 내려야 작동해요. 잠든 AI 지니를 깨우는 호출어는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그래서 우리는 어두운 밤에 물체의 색깔을 구분하긴 어려워도 어둡기와 밝기는 더 잘 구분할 수 있지요.망막까지 도달한 빛은 광수용체 세포와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켜요. 이 신호가 주변의 신경세포에 흥분을 전달하면, 시신경을 따라 자극이 대뇌로 전달돼요. 그 덕에 우리는 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태양전지, 스펙트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성분 분포를 ‘스펙트럼’이라고 해요. 스펙트럼은 선 스펙트럼과 연속스펙트럼으로 구분돼요. 선 스펙트럼은 하나의 원자가 빛을 내뿜을 때 나타나요.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하면 빛을 방출하는데, 이 빛의 파장은 원자의 종류마다 다르지요. 예를 들면 가로등의 노란빛은 나트륨(Na)에 ... ...
- [헷갈린 과학] 갈대 vs 억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꽃이 피는 시기가 9월로 비슷해 얼핏 보아서는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갈대와 억새를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서식지예요. 갈대는 강가나 습지처럼 물이 있는 곳에서 무리 지어 자라요. 산에서 갈대와 비슷한 식물을 봤다면 이는 확실히 갈대가 아니라고 할 수 있어요. 키는 2~3m 정도로 사람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견디고 지구 표면까지 도달하는데, 이게 바로 ‘운석’이랍니다. 운석을 다른 돌과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까만 돌을 찾는 거예요. 유성체는 초속 10~20km의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지구 대기로 들어오면서 마찰로 불타올라요. 그 온도가 수천℃에 이르죠. 이 때문에 운석은 겉표면이 검게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