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두 영역의 색상 불확실성을 가장 낮출 수 있다. 이처럼 두 영역의 색상이 가장 잘 구분되는 분할의 위치가 바로 구성 정보량을 최대로 하는 지점인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미술사 속 풍경화 데이터에서 최적의 분할 점과 선을 찾았다. 그리고 이렇게 찾은 지배적인 수평선의 위치를 토대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화. 지명 수배자 삐뚤란을 찾아 그렁그렁 행성으로 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즐기고 있었지요. ‘흠, 여기서 삐뚤란을 찾기는 쉽지 않겠는걸.’그렁그렁 행성 주민을 구분하는 건 쉬웠습니다. 이들은 인간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키가 작고 아담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눈이었습니다. 눈이 커다랗고 촉촉해서 보기만 해도 빠져들 것만 같았지요. “저기요, 처음 오셨나요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없다. 헤어스타일로 구분할 수 없는 대머리처럼, 블랙홀 역시 이들 세 물리량을 제외하면 구분할 수 없다. 이렇게 블랙홀이 세 개의 물리량에 의해서만 특성이 결정된다는 정리를 ‘머리털 없음 정리(no-hair theorem)’라고 한다.세 물리량 가운데 질량만을 갖는 블랙홀을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이라고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평화로운 어린이수학동아 편집부에 논쟁이 벌어졌어요. 이게 다 김연진 기자가 편집부에 던진 ‘각뿔의 꼭짓점’ 문제…, 아니, M몬스터 숲에 사는 꼭짓점 몬스터 ... 것 같아요. 교과서 만드는 분들, 어수동 참고해서 ‘각뿔의 꼭짓점’과 ‘꼭짓점’의 구분을 좀 더 명확히 해주세요! ... ...
- [가상 인터뷰] 분노 조절 어려워진 태풍, 무슨 일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른단다. 강한 태풍과 약한 태풍은 어떻게 구분하니?강도는 태풍의 풍속으로 등급을 나눠. 작년 여름 태풍 ‘바비’, ‘마이삭’, ‘하이선’까지 열흘 사이에 ‘매우 강’ 수준의 태풍 3개가 연달아 한반도로 들이닥쳤어. 우리나라 기상 관측 이래 처음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스윙바이, 운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언뜻 봐서는 그냥 돌멩이와 운석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거예요. 하지만 둘을 구분할 수 있는 결정적인 힌트가 있답니다. 그건 바로 운석 표면에 있는 ‘용융각’이라 불리는 흔적이에요. 운석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공기와의 강한 압축열로 표면이 녹았다가 식어요. 이 때문에 까맣게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망한 그룹과 입원한 그룹을 추가해 총 6개 그룹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놓인 인구 집단을 구분했습니다. 이중에서 경제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감염 취약, 노출, 감염, 회복 그룹을 다시 재택근무나 격리 같은 거리두기 상황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노동자와 낮은 생산성을 보이는 노동자로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사과와 오렌지 둘 다 동그랗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입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경우 이를 각각 2회, 3회, 0회, 10회씩 말했고요. 아래 그림➊에서 세로줄인 ‘열’로 구분한 네 개의 단어를 흔히 ‘차원’이라고 부릅니다. 중요하게 다루겠다고 결정한 것들이죠. 가로줄인 ‘행’으로 나눈 이름은 ‘관찰단’이라고 해요. 차원 수가 적고 관찰단이 많은 데이터가 비교적 처리하기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실험을 진행했다.연구팀은 분자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재현하기 위해 각각의 분자를 구분해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저장된 이미지를 오차율 0.11% 이내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해 2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