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가해 원자 속 전자를 이탈시켜버린 상태죠.플라스마는 고온플라스마와 저온플라스마로 구분됩니다. 이 둘은 플라스마의 실제 온도가 아니라, 구성 물질간 열평형상태(온도 차이)에 따라 나뉩니다. 고온플라스마는 플라스마 내 전자, 이온 등의 온도가 같아서 평형플라스마라고 불리는 반면,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않았다. AI가 자기소개서 등 지원자가 작성한 문서의 문체에 따라 성별을 암묵적으로 구분하는 현상이 발견됐다. 성별 데이터가 제거돼도, AI가 스스로 성별을 유추할 수 있는 특성을 끄집어낸 것이다. 개발팀은 이 편향 문제를 끝내해결하지 못했고, 결국 2017년 팀 해체와 함께 채용 AI 개발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하 연구원은 “짝을 이룬 황새는 무리와 동떨어져 유대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다”며 “서로 깃털을 다듬어주거나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면서 주위의 다른 개체를 공격하며 배척한다”라고 설명했다. 황새 커플을 무리와 따로 격리하면 바로 둥지를 짓고 알을 낳기도 한다. 하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평화로운 어린이수학동아 편집부에 논쟁이 벌어졌어요. 이게 다 김연진 기자가 편집부에 던진 ‘각뿔의 꼭짓점’ 문제…, 아니, M몬스터 숲에 사는 꼭짓점 몬스터 ... 것 같아요. 교과서 만드는 분들, 어수동 참고해서 ‘각뿔의 꼭짓점’과 ‘꼭짓점’의 구분을 좀 더 명확히 해주세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망한 그룹과 입원한 그룹을 추가해 총 6개 그룹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놓인 인구 집단을 구분했습니다. 이중에서 경제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감염 취약, 노출, 감염, 회복 그룹을 다시 재택근무나 격리 같은 거리두기 상황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노동자와 낮은 생산성을 보이는 노동자로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사과와 오렌지 둘 다 동그랗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입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경우 이를 각각 2회, 3회, 0회, 10회씩 말했고요. 아래 그림➊에서 세로줄인 ‘열’로 구분한 네 개의 단어를 흔히 ‘차원’이라고 부릅니다. 중요하게 다루겠다고 결정한 것들이죠. 가로줄인 ‘행’으로 나눈 이름은 ‘관찰단’이라고 해요. 차원 수가 적고 관찰단이 많은 데이터가 비교적 처리하기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돼요. 인공지능은 호랑이와 코끼리의 여러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다 마침내 둘을 구분해내는 판단 기준인 ‘모델’을 자동으로 만들어내지요.이번 호에서는 모델을 이용해 가족의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거예요. 먼저 가족들의 얼굴 사진을 컴퓨터에 입력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스윙바이, 운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언뜻 봐서는 그냥 돌멩이와 운석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거예요. 하지만 둘을 구분할 수 있는 결정적인 힌트가 있답니다. 그건 바로 운석 표면에 있는 ‘용융각’이라 불리는 흔적이에요. 운석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공기와의 강한 압축열로 표면이 녹았다가 식어요. 이 때문에 까맣게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실험을 진행했다.연구팀은 분자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재현하기 위해 각각의 분자를 구분해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저장된 이미지를 오차율 0.11% 이내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해 2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