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하 연구원은 “짝을 이룬 황새는 무리와 동떨어져 유대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다”며 “서로 깃털을 다듬어주거나 함께 오랜 시간을 보내면서 주위의 다른 개체를 공격하며 배척한다”라고 설명했다. 황새 커플을 무리와 따로 격리하면 바로 둥지를 짓고 알을 낳기도 한다. 하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두 영역의 색상 불확실성을 가장 낮출 수 있다. 이처럼 두 영역의 색상이 가장 잘 구분되는 분할의 위치가 바로 구성 정보량을 최대로 하는 지점인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미술사 속 풍경화 데이터에서 최적의 분할 점과 선을 찾았다. 그리고 이렇게 찾은 지배적인 수평선의 위치를 토대로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가해 원자 속 전자를 이탈시켜버린 상태죠.플라스마는 고온플라스마와 저온플라스마로 구분됩니다. 이 둘은 플라스마의 실제 온도가 아니라, 구성 물질간 열평형상태(온도 차이)에 따라 나뉩니다. 고온플라스마는 플라스마 내 전자, 이온 등의 온도가 같아서 평형플라스마라고 불리는 반면,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평화로운 어린이수학동아 편집부에 논쟁이 벌어졌어요. 이게 다 김연진 기자가 편집부에 던진 ‘각뿔의 꼭짓점’ 문제…, 아니, M몬스터 숲에 사는 꼭짓점 몬스터 ... 것 같아요. 교과서 만드는 분들, 어수동 참고해서 ‘각뿔의 꼭짓점’과 ‘꼭짓점’의 구분을 좀 더 명확히 해주세요!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과연 땅콩의 개수 차이를 파악해 더 많은 이득을 얻었을까요? 개코원숭이들은 숫자를 구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큰 수와 작은 수를 비교할 수도 있었답니다. 땅콩 수를 비교해 더 많은 땅콩이 든 컵을 가져갔죠. 그런데 컵 두 개에 든 땅콩 양이 2와 7처럼 눈에 띄는 차이가 날 때는 정답률이 75%에 이른 ... ...
- [가상 인터뷰] 분노 조절 어려워진 태풍, 무슨 일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른단다. 강한 태풍과 약한 태풍은 어떻게 구분하니?강도는 태풍의 풍속으로 등급을 나눠. 작년 여름 태풍 ‘바비’, ‘마이삭’, ‘하이선’까지 열흘 사이에 ‘매우 강’ 수준의 태풍 3개가 연달아 한반도로 들이닥쳤어. 우리나라 기상 관측 이래 처음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돼요. 인공지능은 호랑이와 코끼리의 여러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다 마침내 둘을 구분해내는 판단 기준인 ‘모델’을 자동으로 만들어내지요.이번 호에서는 모델을 이용해 가족의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거예요. 먼저 가족들의 얼굴 사진을 컴퓨터에 입력해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망한 그룹과 입원한 그룹을 추가해 총 6개 그룹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놓인 인구 집단을 구분했습니다. 이중에서 경제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감염 취약, 노출, 감염, 회복 그룹을 다시 재택근무나 격리 같은 거리두기 상황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노동자와 낮은 생산성을 보이는 노동자로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사과와 오렌지 둘 다 동그랗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입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경우 이를 각각 2회, 3회, 0회, 10회씩 말했고요. 아래 그림➊에서 세로줄인 ‘열’로 구분한 네 개의 단어를 흔히 ‘차원’이라고 부릅니다. 중요하게 다루겠다고 결정한 것들이죠. 가로줄인 ‘행’으로 나눈 이름은 ‘관찰단’이라고 해요. 차원 수가 적고 관찰단이 많은 데이터가 비교적 처리하기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