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사과와 오렌지 둘 다 동그랗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입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경우 이를 각각 2회, 3회, 0회, 10회씩 말했고요. 아래 그림➊에서 세로줄인 ‘열’로 구분한 네 개의 단어를 흔히 ‘차원’이라고 부릅니다. 중요하게 다루겠다고 결정한 것들이죠. 가로줄인 ‘행’으로 나눈 이름은 ‘관찰단’이라고 해요. 차원 수가 적고 관찰단이 많은 데이터가 비교적 처리하기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실험을 진행했다.연구팀은 분자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재현하기 위해 각각의 분자를 구분해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저장된 이미지를 오차율 0.11% 이내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해 2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과연 땅콩의 개수 차이를 파악해 더 많은 이득을 얻었을까요? 개코원숭이들은 숫자를 구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큰 수와 작은 수를 비교할 수도 있었답니다. 땅콩 수를 비교해 더 많은 땅콩이 든 컵을 가져갔죠. 그런데 컵 두 개에 든 땅콩 양이 2와 7처럼 눈에 띄는 차이가 날 때는 정답률이 75%에 이른 ...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키워드 14개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있어 각 잡지 구독자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구분해서 묶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뒤 잡지를 구독하지 않는 고객 A의 정보를 벡터로 나타내서 각 키워드와의 거리와 각도 등을 계산하면 어떤 잡지를 추천할지 알 수 있습니다. 한눈에 익히는 벡터와 그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매질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횡파’로 바뀌었다”며 “이 차이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을 구분하는 특징이라 추측하고 있지만 보이저 탐사선이 태양권계면에서 수십 광년밖에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보이저 2호의 관측 결과로 태양권계면을 벗어나자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후후…, 앞에서 김민형 교수님이 얘기한 알쏭달쏭한 수수께끼에 바로 답이 있군! 최고의 수는 세상 어디에나 있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수라고 ... 않아요. 하지만 데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은 거짓말을 만들어낼 수도 있어요.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숫자를 읽을 줄 알아야 해요 ... ...
- [이슈1] 수학과 친해지는 진짜 쉬운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많이 읽다 보니 빠르게 읽는 법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됐어요. 잘 쓴 글과 못 쓴 글을 구분할 수 있게 됐고, 제 의견과 달라도 근거와 함께 논리정연하게 풀어나가는 글에는 좋은 점수를 주죠.수학과 친해지기도 중요합니다. 중국의 국가지도자였던 장쩌민 전 주석은 수학 문제 푸는 것이 취미라고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식물이 서로 소통한다고 할 때 이것이 환경적인 요소인지 실제 신호전달의 결과인지 구분하는 것은 매우 재밌는 연구주제다. 해결의 길잡이 소리를 내거나 문자를 남기지 못하는 식물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는 ‘공기’와 ‘토양’이다. 같은 바구니에서 하나의 과일이 썩으면 다른 과일도 썩는 ... ...
- [매스크래프트] #13. 보신각 종을 꼭 닮은 통계학의 핵인싸 정규분포!수학동아 l2021년 01호
- 157.11cm이기 때문이죠(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통계). 우리나라 성인의 키를 남녀로 구분해 그래프를 그리면 이 자료 역시 평균을 중심으로 종 모양을 이루는 정규분포에 가까워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확률분포도 자료의 개수가 충분히 크면 ‘표준화’라는 작업을 통해 정규분포로 만들 수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