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뉴스
"
모방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 눈 닮고 동전보다 얇은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이미지센서를 이어 붙였는데도 동전 두께의 반밖에 안 된다. KAIST 제공 곤충의 눈 구조를
모방
한 초박형 고해상도 카메라가 개발됐다. 두께가 10원짜리 동전의 절반에 불과해, 모바일기기는 물론 미세한 곳을 상세히 관찰해야 하는 의료영상 기기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정기훈 ... ...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계산을 통해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생체대사를
모방
한 인공대사 배터리를 개발했으며, 특히 리튬이온배터리의 뒤를 이을 차세대 이차전지인 나트륨전지와 리튬-공기전지 등의 효율을 향상시켜 미래 한국의 차세대 배터리 산업 역량을 높였다. 시상식은 24일 ... ...
[프리미엄리포트]산업의 감초 더 싸게 더 많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03.21
은 “우리 몸에서 활성산소를 과산화수소로 바꿔주는 효소의 구조를 확인하고 이를
모방
해 새로운 촉매를 고안해냈다”고 말했다. 우리 몸속에는 세포를 죽이는 활성산소가 끊임없이 생성되는데, 반대로 이를 또 끊임없이 제거해주는 효소들이 있다. 우선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OD)가 ... ...
[영상+] 팩트체크! 핵융합 편견과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9
수소, 원자가 융합해 헬륨을 만들 때 엄청난 빛과 에너지를 쏟아낸다. 이런 태양을
모방
해 막대한 에너지를 생산하려는 방식이 핵융합 발전이다. 핵융합 에너지에 대한 편견과 진실을 파헤쳐 보자. ◆ 핵융합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는 비슷하다? ◆ 핵융합 에너지는 폭발 위험성이 있다? ◆ ... ...
'미래혁신기술, 자연에서 답을 찾다' 낸 김완두 기계연 연구위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자연에서 답을 찾다’를 발간한다고 10일 밝혔다. 자연모사는 자연의 원리를
모방
해 기술에 적용하는 연구법이다. 김 연구위원은 20년간 자연모사기술을 연구해 온 전문가다. 김 연구위원은 자연생태계의 선순환적 구조에서 영감을 얻어 과학기술의 난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혁신성장 동력을 찾을 ... ...
[팩트체크]전 세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0.03.01
있다. 분자 클램프는 바이러스성 단백질을 유전적으로 변형시켜 코로나바이러스를
모방
하게 해 면역반응을 촉진시키는 기술이다. 해외 제약사들은 감염자가 가장 많은 중국과 협력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는 단백질 기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후보물질 'S ... ...
(영상+)달걀 집고 물 따르는 로봇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분포와 힘을 측정한다. 도 연구원은 “인간형 로봇 손은 사람 손의 섬세한 움직임을
모방
해 일상생활에서 쓰는 도구 등 다양한 물체를 다루기 위해 개발했다”며 “로봇 손이 무언갈 붙잡는 ‘파지’ 작업 알고리즘과 로봇 조작지능을 연구하기 위한 플랫폼으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특정 구간에서만 효율이 높은데 새는 전 비행구간에서 높다”며 “새의 날개 변형을
모방
한다면 비행기의 비행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제공 . 미국 스탠퍼드대 제공 ... ...
세계 최초로 '살아 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또 세포와 같은 생명체 일부를 로봇에 집어넣어 동물의 자연스런 동작을
모방
하는 생체
모방
기술을 집중해서 개발해왔다. 연구팀은 배아에서 긁어낸 세포들을 피부세포와 심장세포로 분화시켰다. 피부세포는 로봇의 몸체 역할을 하고, 심장근육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로봇이 앞으로 ... ...
세계 최고 수준 인공 촉각세포 만든 김도환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세포막 구조와 기계적 외부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생체이온의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모방
한 인공 촉각세포를 구현했다. 넓은 압력범위에서도 기존 소재 대비 약 30배 이상의 민감도 성능을 갖춘 이온트로닉 전자피부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초고감도 전자피부 기술을 활용해 손으로 누르는 압력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