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뉴스
"
모방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밝혀진 향기 성분만 110가지나 된다. 필자는 과거 화장품 회사를 다닐 때 복숭아 향을
모방
한 향기를 많이 맡아봤지만 다들 천연 향에는 명함도 못 내미는 수준이었다. 잘 익은 진짜 복숭아만이 줄 수 있는 향기라는 말이다. 어렸을 때만 해도 아몬드는 들어보지도 못했는데 이제는 사시사철 ... ...
AI 이용해 단기기억의 내부 작용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없었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와 AI기술을 통해해 실제 뇌의 신경세포를
모방
한 가상의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그런 다음 동물 실험에서 적용됐던 것과 동일한 단기기억 업무를 네트워크에 적용해 그 활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단기기억은 업무의 복잡성에 따라 서로 다른 뇌 회로를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이용해 100만 개의 뉴런과 2억6000만 개의 시냅스(뉴런 접합부)로 얽힌 인간 두뇌를
모방
했다. 트루노스는 기존 시스템보다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으로 구동했다. 덕분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사실 자가 학습능력은 ... ...
늘어나도 끄떡없고 끊어져도 스스로 붙는 웨어러블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측정하고 신호를 로봇 팔에 전송해 실제 인간 팔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그대로
모방
하는 데 성공했다. 인터커넥트란 인체로부터 측정한 생체 전기신호를 전자 소자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인체와 전자 소자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다. 손을 쥐거나 펴는 동작에 따라 인터커넥트가 신호를 로봇 ... ...
스스로 학습하는 ‘AI 반도체’ 급성장… 완전히 다른 세상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교수와 박정우 연구원팀은 올해 2월 이를 극복할 돌파구를 열었다. 뇌의 원리를 그대로
모방
하는 방식을 고수하지 않고, 뉴로모픽의 원리와 장점은 취하되 기존의 반도체 회로를 구현하는 데도 적합한 새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에 최적화된 반도체를 설계했다. 전 교수는 “실제 ... ...
2033년 적진 침투한 벌레 정찰로봇이 폭격 유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있을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한 국방생체
모방
로봇 기술로드맵은 생체
모방
로봇 개발에 필요한 국가와 국방연구개발 부처 간 협력과제를 발굴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단행본은 민간부처와 국방부처의 연구개발 투자방향 수립을 위해 합참, 각 군 및 산학연 등 국방 관련 기관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품첨가제로 만든 3D프린팅 인공장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혈관을 흐르는 적혈구에 산소를 공급한다. 이런 생물학적 조직의 복잡한 혈관 구조를
모방
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3D프린팅 기술이다. 3D프린팅 기술은 복제할 물체에 빛을 비춰 물체를 복제한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곳에 빛이 투사돼 복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광흡수제’란 물질이 쓰인다. ... ...
효소
모방
한 나노물질 이용해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증가하지만 다른 효소 활성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과산화효소를 정확하게
모방
했다. 연구팀은 새롭게 개발한 물질을 이용해 과산화수소를 가진 아세틸콜린을 시각적으로 검출하는데 성공했다. 이 나노자임은 자연 효소보다 더 민감하게 아세틸콜린 검출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적이냐 먹이냐’ 순간적 판단, 뇌 속 ‘스트레스 세포’가 담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변화를 바탕으로 1초 간격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쥐를 물에 빠뜨리거나 날아오는 새를
모방
한 시각적 자극 등 부정적 자극을 주면 CRF세포가 빠르게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광유전학을 통해 시상하부 CRF 세포의 활성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활성도가 높아지자 해당 방에 들어가지 ... ...
문어빨판
모방
패치소재 개발한 방창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받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4월 수상자로 방창현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4월 수상자로 방창현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