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뉴스
"
모방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파고 한계 뛰어넘는 ‘AI 자전거’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방법을 찾고 있다.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분야는 신경과학에 기반을 두고 이를 그대로
모방
한 반도체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간의 신경을 닮은 ‘뉴로모픽 칩’이 대표적이다. 또 다른 연구자들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인간 신경망이 쓰는 계산법을 그대로 따라 하게 한다. AI의 주요 기능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인간 닮은 칩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3
AI를 실제 인간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택하고 있다. 하나는 뇌를
모방
한 반도체 구조를 개발해 인간 뇌의 효율성을 반도체에 입히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인간 신경망이 쓰는 계산법을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다. AI의 주요 기능인 기계학습은 여기서 나온다. 시 루핑 ... ...
119가지 촉감 느끼는 '인공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실제 손과 다리처럼 자연스러운 촉감을 느끼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제 손 신경과 근육
모방
해 힘 조절과 감각 구현 유타대 연구팀이 개발한 루크 암이 실제로 느낄 수 있는 감각들을 동그라미로 나타냈다. 루크 암을 끼고 느낄 수 있는 감각이 119가지나 된다. 대부분 진동(빨간색, 37%)과 압박(녹색, ... ...
상처에 붙이면 큰 흉터 없이 낫게 하는 반창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붙일 수 있는 생체 친화 젤반창고가 개발됐다. 배아의 피부세포가 상처를 붙이는 원리를
모방
했다. 체온에 민감하게 반응해 수축하는 생체친화적 재료를 이용했다. 이 젤반창고를 상처에 바르면 상처 주위의 피부가 수축하면서 상처가 붙는다. 미국 하버드대 비스생물공학연구소 제공 외부 압력이나 ... ...
병원균 단백질 구조만 바꿨을 뿐인데…내성·독성 없는 항생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황색포도상구균이 생성하는 독소의 단백질 구조를 변형해 20가지 단백질 분자(펩타이드
모방
체)를 인위적으로 만들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살모넬라균과 비브리오균만큼 흔한 세균으로, 그간 반코마이신이나 메티실린 등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균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항생제 내성 ... ...
치타 로봇 아버지 김상배 MIT 교수, 네이버랩스 기술고문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기술 전문 자회사 네이버랩스 기술 고문에 합류했다. 김 교수는 MIT에서 생체
모방
로봇연구소를 이끌며 4족 보행 로봇을 연구했다. 논문 인용 횟수가 누적으로 6000건이 넘을 정도로 세계적인 권위자다.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에 나선 김상배 교수는 2006년 스탠퍼드대 박사과정 시절 ... ...
[뉴스페이스의 개막]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꿈꾼다(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우주개발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들 스타트업들은 단순히 기존 발사체나 위성을
모방
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제2의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 등을 꿈꾸는 이들은 전세계적인 투자 열풍과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도전의 ... ...
지속적인 운동으로 생긴 장내미생물이 운동능력도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코스틱 미국 하버드대 의대 미생물면역학과 교수와 조치 처치 하버드대 위스생체
모방
공학연구소 교수 공동 연구팀은 운동을 꾸준히 해온 사람들에게는 특정 장내미생물 종이 근육에 에너지원을 공급해 운동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24일자에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소프트 로봇이다. 몸에 가시처럼 난 등지느러미가 특징인 쏠배감펭의 모습을 그대로
모방
했다. 약 40cm 길이의 로봇 물고기는 꼬리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등 물고기가 가진 몸 조건을 모두 갖췄다. 지느러미 속에는 합성 혈액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배터리를 넣었고, 심장 역할을 하는 ... ...
1㎕ 체액만으로도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나노소포체가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체내의 혈소판-암세포 친화력을
모방
해, 암세포에서 나온 나노소포체를 검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이는 복잡한 처리 없이 혈장을 그대로 이용했음에도 불구 극소량 샘플로부터 암세포 유래 나노소포체를 검출했다”고 말했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