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087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노래하는 '구부러지는 OLED'…스피커 품은 디스플레이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형태 변형과 함께 별도의 스피커 없이도 OLED 디스플레이 자체가 소리를 낼 수 있다.
전기
신호 주파수에 따라 형태 변형과 소리 발생을 동시에 구현한 벤더블 디스플레이. 포스텍 제공 실제 스마트폰용 OLED 패널에 이 기술을 적용하자 성공적으로 작동했다. 자유롭게 변형되고 OLED의 얇고 가벼운 ... ...
폐수·폐플라스틱으로 암모니아·화장품 원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가능성도 검증했다.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모사한 전해질과 페트병 추출물을 이용한
전기
화학시스템은 114μmol/㎠h 수준의 태양광 암모니아 생산 속도를 보였다. 조승호 교수는 “태양광과 폐기물로 그린 암모니아와 고부가가치 글리콜산을 동시에 생산했다”며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형 에너지 ... ...
KIST, 삼성E&A와 수소 생산 고온수전해 설비 실증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위한 수전해공동연구소를 공동 출범했다. '고온 수전해(SOEC)'는 고온의 수증기를
전기
로 분해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로 기존 수전해 방식보다 수소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설비는 고온에서 작동되는 기술 특징을 고려해 시스템 안전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 ...
차세대 원자로 SFR 핵연료 피복관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크롬 코팅에 활용하는 직류와 펄스 방식은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흘러 수용액의 물이
전기
분해돼 발생하는 수소 등 불순물이 코팅층에 포함돼 코팅 균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코팅 균일성이 떨어지면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 FCCI 현상이 일어날 위험이 커진다. 연구팀은 전류 방향을 ... ...
'터미네이터 T1000' 로봇처럼 좁은 틈 통과하는 '액체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김호영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음파나
전기
장을 사용해 액체 로봇의 모양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선정윤 교수는 "액체 로봇이 향후 산업 현장에서 보다 널리 활용되도록 재료의 기능성을 더 높일 ... ...
12·3 계엄 그후 '명령에 따랐을 뿐?'…책임감·죄책감이 사라질 때
과학동아
l
2025.03.22
섬엽이다. 공감 관련 뇌 부위의 활동이 적어지는 명령 이행 상황에서는 실험 참가자들이
전기
충격을 가할 때 이를 덜 고통스러운 것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또한 두정-측두 영역(두정엽과 측두엽이 만나는 부위),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 쐐기앞소엽, 전측 대상피질 등 우리가 죄책감을 경험할 때 ... ...
[과기원NOW] 최경철 KAIST 교수,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 석학회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등을 할 수 있는 응용연구를 세계 최초로 수행하기도 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미국
전기
전자공학자협회(IEEE)와 SID 학회에서 동시에 석학회원으로 선정된 연구자는 전세계에 11명뿐이고 국내에서는 두 번째다 ... ...
발암성 물질 제거하는 '활성탄' 재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발생하는 일정량의 합성가스를 활용해 발
전기
를 돌리면
전기
생산도 가능하다. 생산된
전기
는 다시 공정에 투입돼 비용 부담을 줄인다. 연구팀은 구축된 설비를 다수의 소규모 사업장이 공동으로 활용하면 활성탄 재활용 비용이 신품 생산 비용 대비 절반 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전 ... ...
KAIST 총장 후보 3배수 압축…김정호·이광형·이용훈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있는 KAIST 전경. KAIST 제공 KAIST 차기 총장 후보가 이광형 현 KAIST 총장을 비롯해 김정호
전기
·전자공학부 교수와 이용훈 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3명으로 압축됐다. 20일 KAIST에 따르면 KAIST 총장후보선임위원회는 전날 심사위원회를 열어 3명의 후보를 이사회에 추천했다. 가나다 순으로 ... ...
FDA 승인 1개 뿐인 '간 섬유화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강력한 항섬유화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갖춘 약물로 간 섬유화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전기
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임상 연구를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되면 실질적인 치료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의약화학저널(JMC)’에 6일 온라인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