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237건 검색되었습니다.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① 의식 희미한 환자, 회복 치료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약물이 아닌 의료기기를 통한 치료다. 뉴로핏은 경두개
전기
자극(tDCS) 기기인 ‘뉴로핏 잉크’와 뇌영상 치료계획 소프트웨어인 ‘테스랩(tES LAB)’의 조합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혁신의료기기 지정을 받았다. 테스랩은 뇌영상 치료계획 소프트웨어라는 ... ...
한파 10일까지 '절정'…16일 다시 들이닥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등 급격한 기온 변화와 낮은 기온으로 인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며 "난로와
전기
장판 등 난방기 사용 시 화재 예방에 유의하고 농작물 저온 피해가 없도록 보온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13일부터 상층기압골이 한반도를 통과하며 구름대가 한반도에 반복적으로 유입된다. 기상청은 13~1 ... ...
빛·압력·냄새·맛까지 감지하는 똑똑한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곡선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섬유는 MoS₂가 가진 우수한
전기
적·기계적 특성과 섬유 안의 정렬된 구조 덕분에 다양한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 김봉훈 교수는 “이번 연구로 이황화몰리브덴 같은 2차원 나노소재의 활용 범위가 크게 ... ...
[사이언스영상] 태양광만으로 가는 돌고래 닮은 자동차
SEIZE
l
2025.01.09
수 있으며 완충 시에는 최대 64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돌고래 같은 디자인은 독일
전기
차 제조 업체 아우토모빌리 피닌파리나와 협력한 결과다. 이 디자인으로 PI2는 공기저항계수 0.13Cd를 달성했다. Cd는 차량의 공기역학적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숫자가 작을수록 공기 저항을 덜 받는다는 뜻이다. ... ...
[과기원NOW] 포스텍, 친환경 붕소 제거 흡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인체·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물속 붕소는
전기
적 중성인 붕산 형태로 존재해
전기
적 인력을 활용하는 기존 흡착제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특수 흡착 소재를 코팅한 다공성 스펀지를 개발했다. 산성도를 국소적으로 조절해 물속의 중성 붕산을 붕산염으로 바꾸고 흡착하는 원리다. ... ...
적외선 85배 증폭 초고감도 양자점 센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자율주행차나 양자 기술 센서로 활용되기에는 성능이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강한
전기
장으로 전자를 가속해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인접한 양자점에서 추가 전자들을 생성하도록 했다. 전자를 증폭하기 위해 양자점 입자 사이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해야 한다는 사실도 규명했다. 또 양자점 ... ...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공정’으로 가공된 깎아낸 가장자리를 비교해
전기
적 특성을 분석했다.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은 플라즈마를 이용해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미세 가공 기술로 나노소자 제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으로 형성된 가장자리에서는 비국소 ... ...
KAIST, 세대 초월 AI반도체·화학·전산 협업연구실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이후 지난해 말까지 9개 연구실이 운영 중이다. 이번 추가 개소로 총 12개가 된다. 유회준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의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에는 같은 학과 김주영 교수가 참여한다. 유 교수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 반도체 설계 석학이다. 김 교수는 거대 언어모델(LLM)과 서버용 AI ... ...
[과기원NOW] GIST, 효율적 생체전자 시스템 설계 전략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6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스스로 자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자성체처럼 외부
전기
장 없이도 분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이다. 연구팀은 강유전체 소재를 이용해 기존 D램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전기
연, 올해의 숨은 가치 연구성과 사진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위원회를 거쳐 대상 1팀, 최우수 2팀, 우수 3팀 등 최종 6점을 선정했다. 영예의 대상은
전기
물리연구센터의 사진 ‘고전압 펄스전원 기반 플라즈마'가 차지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국내 디지털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