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기
날틀
선박
우주선
aircraft
뉴스
"
항공기
"(으)로 총 80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한 폐렴 추가 증상자 3명 격리 조사 중…공항 검역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추가 감염자는 없는지 확인 중이다. 확진환자와 동일한
항공기
를 탔던 승객과 승무원 등 44명 가운데 9명은 이미 출국했고, 환자와 동행한 5명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 환자와 접촉했던 사람들은 보건소를 통해 모니터링 중이다. 접촉자는 확진환자의 좌석 앞, 뒤 3열을 ... ...
보건당국 "우한 폐렴 확진환자 접촉자 모니터링에 총력" …美도 검역 강화(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뉴욕 JFK, 샌프란시스코, LA 등 3개 공항에서 우한발
항공기
승객 발열 검사를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한국도 경계 태세를 높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20일 확진 환자 확인에 따라 전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질본은 ... ...
[우한 폐렴 비상] 질병관리본부장 일문일답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하는 중이다. 중국 남방항공 여객기가 180여 명 정도 타는 그런 비행기로 알고 있다” Q.
항공기
에 동승한 승객의 감염 위험성은. “비행기라는 밀폐된 공간 안에서의 접촉이기는 해서 저희가 메르스나 사스 때 준용했던 것처럼 환자의 비행기 내 동선을 먼저 파악할 예정이다. 비행은 3시간 ... ...
[우한 폐렴 비상]사망률 아직 낮지만 전파속도 사스보다 빠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접촉한 적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이 환자와 같은
항공기
를 탔던 승객과 승무원을 대상으로 검사 중이다.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돼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약 8~10일 정도 걸리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잠복기간 동안 공항을 통해 ... ...
[우한 폐렴 비상]국내 첫 확진자 발생…中 여성 여행객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진행중이다. 확진환자는 검역단계에서 확인돼 지역사회 노출은 없는 상황이다. 다만
항공기
동승 승객과 승무원 등 접촉자는 현재 조사중이다. 접촉자는 관할 보건소에 통보해 ‘능동감시’를 진행한다. 능동감시는 마지막 접촉일로부터 14일 동안 1일, 2일, 7일째 유선 연락해 발열 및 호흡기 증상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발가락을 사용해 비행 방향을 잡는다는 첫 번째 증거”라며 “이번 연구는 혁신적인
항공기
를 개발하는 데 영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박훈철 건국대 생체모방시스템연구실 교수는 “사용하는 에너지 대비 비행거리를 의미하는 비행효율이 비행기는 특정 구간에서만 효율이 높은데 새는 전 ... ...
모터쇼를 넘어선 CES…자동차만 있으면 밋밋하다
연합뉴스
l
2020.01.08
내놓은 업체는 자동차회사가 아닌 헬리콥터 제조사 '벨'이다. 벨은 우버의 에어택시용
항공기
'넥서스 4E'를 전시했다. 넥서스 4E는 관람객이 타볼 수 있고 로터가 비행과 이착륙 모드로 꺾이는 모습을 보여줬다. 벨 전시관에선 소형 드론이 떨어지는 해프닝도 있었다. 현대차 옆인 메르세데스-벤츠 ... ...
6각으로 각잡힌 얼음, 만들어질땐 '삐뚤빼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얼음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차 유리의 성에나
항공기
표면의 얼음처럼 수증기가 바로 얼음이 되는 경우 얼음이 2차원 형태로 만들어진다. 프란시스코 교수는 “얼음으로 덮이면 작동하지 않는 풍력 터빈의 경우 얼음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물과 표면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기후의 신비/산티아고 보르자/사이언스 거대한 폭풍이 태평양 한가운데에 치고 있다. 사진가이자 비행사인 산티아고 보르자는 성층권인 18km 상공에 올라 폭풍을 관 ... 유발시킨다. 공학자들은 이 측정 자료를 이용해 충격파와 그에 의한 소닉붐 현상을 줄이는
항공기
술을 연구 중이다 ... ...
벌새·딱정벌레 닮은 생체모방로봇 미래전 양상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30개 기관에서 이미 도입해 사용 중이다.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2011년 미국 무인
항공기
개발업체 에어로바이런먼트를 통해 벌새를 모방한 정찰 로봇을 만들었다. 무게는 19g, 양 날개 폭 16.5cm에 최고 속도는 초속 6.7m다. 실제 벌새처럼 제자리 비행과 전후진 비행, 회전 비행이 가능하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