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새 VS 붉은머리오목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씨앗을 먹어요.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라고도 부르는 붉은머리오목눈이는 몸길이 약 13㎝로 참새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텃새예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1992년부터 20년 동안 관찰한 결과 우리나라 국립공원에서 가장 많이 관찰된 새로 뽑히기도 했지요. 붉은머리오목눈이는 몸 ... ...
- 달콤한 유리창 품은 바삭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같은 냄새가 나는걸!바삭바삭 쿠키를 만드는 박력분밀가루는 약 70%가 탄수화물(전분), 약 10%가 단백질, 나머지는 비타민과 무기질로 이뤄져 있어요. 밀가루 안에 들어 있는 단백질인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은 물을 붓고 오랫동안 반죽하면 그물처럼 생긴 글루텐을 만든답니다.글루텐은 점성과 ...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화면의 크기를 넓히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병호 교수팀은 12개의 공간광변조기를 붙여 약 23°의 시야각 내에서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움직이는 홀로그램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화면의 크기를 키우고 시야각을 넓히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색상이 뚜렷하지 못하고 선명하지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승객 수를 기준으로 정한다. 보통 지하철 1량의 정원은 약 160명이다. 1시간 동안 1량에 약 288명 이상이 이용하면 즉, 혼잡도가 180%(=288÷160×100) 이상 되면 쾌적한 열차 운행을 위해 배차 간격을 좁힌다.하지만 무턱대고 간격을 좁히는 건 아니다. 열차가 자주 운행될수록 거기에 투입되는 비용이 ... ...
- [과학뉴스] 바닷속 심해어, “이산화탄소가 맛있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깊은 바다 속에는 그다지 귀엽지 않은 해양동물인 심해어가 살고 있다. 우중충한 빛깔에 큰 이빨을 드러낸 모습은 섬뜩해 보이기까지 하다. 그 ... “심해어가 포집, 저장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00만t”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의 약 1.5배 넓이를 숲으로 채웠을 때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 ...
- ‘참을 수 없는 강아지의 귀여움’ 비결은 ‘옥시토신’ 호르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모성 본능을 일으키고 출산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옥시토신은 스프레이 형태의 약으로도 만들어져 흡입할 수 있는데, 사람이 옥시토신을 흡입하면 좀더 믿음직하고 협력적이며 관대해진다. 그런데 개 역시 옥시토신을 맡으면 더 사랑스러운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일본 도쿄대 ... ...
- “친부모가 3명이라고?” 영국, 세 부모 체외수정법 도입 추진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 질환을 안고 태어난 아기는 세포의 에너지가 부족해 근육 약화나 시각 장애, 심장 쇠약 등의 증세에 시달리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새 체외수정법은 일반적인 체외수정법의 변형이다. 우선 기증 받은 건강한 난자에서 세포핵을 제거한다. 여기에 실제 부모의 수정란에서 꺼낸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한 잔 하면서 슬픔을 달랜다고 해요. 동물 실험이 계속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새로운 약을 개발했을 경우, 인간에게 곧장 실험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요즘은 과학기술이 발달해서 컴퓨터로 단백질 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사람 세포를 인공적으로 배양해서 인공 피부나 인공 각막을 만들어 동물 ... ...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행성에서나 활약할 수 있는 ‘만능로봇’은 만들기 어렵다는 의미다.지구보다 중력이 약한 행성에서는 로봇 골격도 가늘고 날씬하게 만들 수 있다. 무게가 가벼워지면 마찰력도 줄어들기 때문에 지면에 잘 붙도록 캐터필러 형태의 바퀴를 달고 움직이는 편이 유리하다. 반대로 중력이 강한 곳에선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복제배아줄기세포 연구에서 우리나라 연구진이 다시 도약했다는 사실은 놀랍다.이 교수는 “힘들고 어려웠지만, 아주 못할 것은 없었다”며 넉살좋게 말했다. 학생 때 주전공이 ‘정자와 난자’였던 이 교수에게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운명일수밖에 없었다. 그는 현재 ... ...
이전4104114124134144154164174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