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한 잔 하면서 슬픔을 달랜다고 해요. 동물 실험이 계속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새로운 약을 개발했을 경우, 인간에게 곧장 실험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요즘은 과학기술이 발달해서 컴퓨터로 단백질 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사람 세포를 인공적으로 배양해서 인공 피부나 인공 각막을 만들어 동물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유치했으며, 서울대와 UNIST가 3개로 뒤를 이었다. 역사와 교수 수 등을 고려하면 UNIST의 약진이 돋보인다.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은 세계적인 학술정보서비스 기업인 톰슨로이터가 선정한 2011년 세계 재료과학자 100인 중 16위에 오른 로드니 루오프 교수가 이끌고 있다. 미국 오스틴에 있는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물의 속도를 말할 때는 공기와 비교를 많이 한다. 하지만 물은 공기에 비해 밀도가 약 1000배 가량 크다. 밀도가 1000배 크다는 것은 같은 부피에서 질량이 1000배 크다는 뜻이다. 1kg짜리 주먹이 초속 2m로 날아올 때와 1000kg 짜리 주먹이 초속 2m로 날아 올 때를 비교해 생각해 보자. 어떤 차이가 있을지는 ... ...
- [과학뉴스] 바닷속 심해어, “이산화탄소가 맛있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깊은 바다 속에는 그다지 귀엽지 않은 해양동물인 심해어가 살고 있다. 우중충한 빛깔에 큰 이빨을 드러낸 모습은 섬뜩해 보이기까지 하다. 그 ... “심해어가 포집, 저장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00만t”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의 약 1.5배 넓이를 숲으로 채웠을 때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프로그램은 온라인용보다 더 숙고한 답변을 내놓게 돼 있다. 보유하고 있는 지식의 양도 약간 다르다. 주최 측이 대회 때 오간 대화를 모두 공개한다면 판단에 도움이 되겠지만, 아직 그런 소식은 없다. 흉내와 지성은 달라 설령 유진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해도 생각해야 ... ...
- 한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도 한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환자 약 50명의 성장판검사를 직접 했어요. 그리고 그 환자들에게 체질 개선을 위한 한약, 일종의 ‘성장탕’을 처방했지요. 성장탕이 정말 키가 크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여기서 논하려는 것은 아니에요. 그러나 초음파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이뤄진 한의사 A씨의 설명은 환자들에게 치료의 필요성을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0° 부근으로, 2008년 피닉스 무인탐사선이 물을 발견한 지역이다. 주변에 호수지형이 있어 약 20억 년 전 화성이 따듯하고 물이 많았을 시기에 생명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2035년 1월 15일, 본격적인 착륙이 시작됐다. 착륙선은 사령선에서 분리됐다. 총 12명의 승무원 중 3명은 사령선에 남았고 ...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화면의 크기를 넓히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병호 교수팀은 12개의 공간광변조기를 붙여 약 23°의 시야각 내에서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움직이는 홀로그램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화면의 크기를 키우고 시야각을 넓히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색상이 뚜렷하지 못하고 선명하지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승객 수를 기준으로 정한다. 보통 지하철 1량의 정원은 약 160명이다. 1시간 동안 1량에 약 288명 이상이 이용하면 즉, 혼잡도가 180%(=288÷160×100) 이상 되면 쾌적한 열차 운행을 위해 배차 간격을 좁힌다.하지만 무턱대고 간격을 좁히는 건 아니다. 열차가 자주 운행될수록 거기에 투입되는 비용이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백신이나 신약을 한 연구진이 단독으로 개발하지 않고 공동연구를 합니다. 신약의 경우 약 20개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해요.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Q 최정문(진행자) 교수님은 어떤 계기로 전공을 선택하셨나요?A 고3 때 담임선생님이 화학선생님이셨어요. 하얀 가운을 입고 실험실에 계신데, 그게 ... ...
이전4114124134144154164174184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