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삐딱한 위성을 몇 개 더 찾아냈다. 약 50년 뒤에 토성의 위성 포에베가 발 견됐고, 약 10년 뒤부터는 목성에서 히말리아와 파시파 에, 카르메 등이 연달아 발견됐다. 1949년에는 해왕성 해왕성의 또다른 불규칙위성 프사마테. 2003년, 당시 하와이대에 있던 데이비드 제비트 교수와 스콧 셰퍼드 연구원이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초당 500프레임의 속도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을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일반 카메라의 약 20배 속도). 카메라에 서 생산되는 데이터만 초당 2기가바이트에 이른다. 데 이터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경기장에 설치된 컴퓨터 15대로 동시 전송된다.컴퓨터는 GPS위성에서 사용하는 삼각측량의 원리로 ...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 셈이다.신현준 위원은 “이 기술이 초고층건물의 화재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양로원, 소아병원 등 행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있는 시설에서도 피난시 안전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보이기 위해 금속물질의 너비가 0.75cm 정도로 가늘어야 했다. 가시광선은 어떨까. 만약 파장 500nm의 초록빛에서 물체를 투명하게 숨기려면, 메타물질 단위 구조의 너비는 125nm 정도여야 한다. 이 정도로 작은 나노 구조를 연결해 사람만큼 큰 망토를 만든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완전히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입술모양을 닮은 꽃을 5~7월에 피운다.6. 부채붓꽃 :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7. 하늘말나리 : 말나리처럼 잎이 돌려나면서 꽃이 하늘을 향하고 있어서 하늘말나리라고 부르며, 우산말나리라고도 부른다.8. 터리풀 : 하얀꽃이 풍성하게 모여 핀 모습이 먼지털이와 닮아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삶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적록색약인 사람은 교통신호를 보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지요.하지만 인류가 처음부터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던 건 아닙니다. 오랜 진화의 역사 속에서 획득한 능력이지요. 포유류 중에서도 우리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만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는 영 역)에 있는 행성으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행성이 지구의 약 2.5배로 다소 크기 때문에 암석 이 아니라 기체로 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만일 케플러-22b가 위성을 가지고 있다면? 골디락스 영역에 존재하는 암석 위성이라는 최적의 조건이 완성된다. 외 계 행성보다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람 키를 훨씬 넘는 개미집들이 흩어져 있다. 뒤에 보이는 지형이 독특한데, 지표면의 약한 틈을 마그마가 뚫고 올라와서 굳은 것이다. 이런 지형을 육지에서 볼 수 있는 곳은 세계에 단 두 곳이라고 한다. 땅에 철 성분이 많아서 언덕 윗부분이 검붉다.➑ 카리지니국립공원에서 은하수와 개미집을 ...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판타지 소설에서 늙은 마녀는 예뻐지기 위해 처녀의 피를 먹는다. ‘엽기적인’ 이런 장면에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걸까. 늙은 쥐의 피를 젊은 쥐의 피로 바꿨더니 ‘젊음’을 되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3개 연구팀이 비슷한 시기에 각각 논문을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시속 150km로 던진 공이 18.44m 떨어진 포수의 글러브로 들어가는 시간은 불과 약 0.44초. 눈 한 번 깜빡할 사이에 지나가 버리는 공을 타자들은 안타나 홈런으로 만들어낸다.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는 타고난 시각 능력과 뼈를 깎는 훈련 덕분이다.이처럼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는 움직이는 물체를 ... ...
이전4124134144154164174184194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