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
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
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탐사 ... ...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나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박스
안
에 넣어서
안
고 들어오는데, 그 길이가 엄청납니다. ‘저렇게 큰 걸 들고 와도
안
걸릴까’ 하는 생각이 들죠. 총 길이가 1.2m나 되니 박스가 클 수밖에요. 총구에 대검을 꽂으면 창에 맞먹습니다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기부 문화나 시스템이 발달해 있지 않아서 공여자를 찾기 어려운 것도 이유다.팔이나
안
면을 이식하는 데 윤리적 문제는 없는가의술을 남용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평생 면역억제제를 먹어야 한다는 부담은 생각보다 크다. 특히 손가락이 없는 경우는 자기 발가락으로 재건이 가능하기 때문에 ... ...
[Life & Tech] 여름이 추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얘들은 1년에 고작 0.1mm 자라. 그마저도 이제는 사람때문에 동굴이 너무 많이 망가져서
안
자란대. 수천 년이 지난들 석주로 만날 수 있을까? 이루지 못한 애틋한 사랑을 뜻하는 것 같다.ㅜㅜ 우린 석주처럼 평생 붙어 있을까?” 웬일로 소녀가 얼굴을 붉히네요.“그…, 그럴까 ... ...
[Knowledge] 금속 유물에 숨결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물에 수산화나트륨 등을 녹인 뒤 유물을 넣고 가열해 염소 이온을 제거합니다. 비교적
안
정적인 청동 유물의 경우에도 겉에는 부식이 일어나 유물 표면에 ‘말라카이트’라는 푸른 산화물이 엷게 쌓이기도 합니다. 일명 ‘청동병’이라고 불리는 부식도 일어납니다. 청동병 같은 부식이 계속되면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한다. 윤초의 첫 번째 글자인 ‘윤달 윤(閏)’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문(門)’
안
에 ‘왕(王)’이 들어가 있다. 옛날 중국에서는 윤달을 불길하게 여겨 왕이 궁궐 문 밖으로 나오지 않았는데, 그 모습을 따서 윤달을 상징 하는 한자를 만든 것이다.태양이 *춘분점을 지나 다시 춘분점으로 돌아올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것으로 설명했다. 다각형의 넓이는 결코 원의 넓이와 같지 않지만, 규정한 허용범위
안
에서 원의 넓이와 가까운 정다각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극한을 “어떤 변수에 대응하는 값이 어떤 ‘고정된 값’으로 다가가는데, 그 차이가 우리가 원하는 만큼 작아질 때 그 고정된 값을 다른 모든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있다. 무리수와 유리수는 실수 상에서 조밀하기 때문에 구간을 아무리 잘게 쪼개도 그
안
에 무한히 많은 무리수와 유리수가 있다. 따라서 리만 적분을 하기 위해 쪼갠 어떤 구간에서도 최댓값은 항상 2, 최솟값은 항상 1이다. 따라서 최댓값 리만 합과 최솟값 리만 합은 구간을 아무리 작게 쪼개도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일치한다”며 “다른 가설이 필요 없다”고 말했다. 윌킨슨 박사는 “앞으로 몇 년
안
에 아무런 증거가 나오지 않을 경우 초대칭이론은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물리학’ 7월 27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했다. 즉, 현재 로서는 갈색지방과 베이지색지방을 늘리는 다이어트 약품에 대한
안
전성 검증이 전혀 돼 있지 않다. 염지현 가천의대 분자의학과 박사는 “베이지색지방은 연구가 시작된 지 5년도 채 되지 않았다”며 “치료제는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 후에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