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생각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보였다. 양의 전하가 원자내부의 아주 작디작은 영역
안
에 조밀하게 모여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에서 원자핵의 지름은 약 10-15m, 원자의 지름은 약 10-10m에 불과하다. 비유하자면 이렇다. 원자핵을 잠실야구장에 놓인 지름이 10cm정도의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받을 것 같다. 항상 조심해야 되는 것 아닌가.노 : 너무 신경 쓰며 걱정하는 게 오히려 더
안
좋을 것이다.이 : 그래서 나는 항상 긍정적으로 살려고 노력한다. 노 : 그래서 이대엽 교수가 항상 그렇게 웃으셨구나(웃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매우 다양한 물질로 이뤄진 복잡한 행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
에 명왕성 각 지역의 표면 성분들을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➌ 크기 비교명왕성과 카론의 크기를 지구와 비교해 표현한 그래픽. 뉴호라이즌 호가 이번 탐사에서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명왕성의 지름은 23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자어에서 비롯된 용어는 남북한 모두 한자 그대로 썼다. 그러나 떨어져 지낸 70년 동
안
여기서도 차이가 벌어졌다. 남한에서는 비정상(abnormal)이라고 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이상’이라고 하고, 뇌전증(간질)을 ‘전간’, 태양중심운동을 ‘일심’, 별자리표를 ‘성도집’이라고 부른다. 한자를 잘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질환 등 지병(기저질환)을 앓고 있던 환자들이 죽은 사례가 대표적이다.국립재난
안
전연구원은 작년 7월 발간한 보고서에 서 극심한 폭염으로 아열대성 질병유행 등 추가재난상황이 벌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재난은 재난이 닥치기 전에 준비해야 한다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러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도자기 속에 스며들었던 작용제와 오염물이 습포 겔
안
으로 빨려 올라옵니다. 이후 표면의 습포만 제거하면 오염물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도자기와 오염물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습포제가 필요합니다. 함 연구사는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길이는 이 은하중심 블랙홀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M87을 관찰하면서 과거 수십억 년 동
안
이 거대타원은하를 만들어내기 위해 충돌하고 합쳐졌을 수많은 은하들의 모습을 상상했다.망원경을 돌려가면서 처녀자리 초은하단과 함께 그 이웃 은하단들을 차례차례 관찰했다. 바다뱀자리 초은하단의 ... ...
아리따운 꽃집 주인 ‘꺼끄니 꼬단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화창한 봄날, 썰렁홈즈는 겨우내 칙칙했던 탐정 사무실의 분위기를 바꾸고자 꽃집으로 향했다. 그곳에서는 아리따운 꽃집 주인 ‘꺼끄니 꼬단파라’가 꽃에 물을 주고 ... 것이다.“제가 언제 여자라고 했나요? 꽃 값이나 내욧!”이후 썰렁홈즈는 꽃가게 근처는 얼씬도
안
한다나 뭐라나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동굴 속의 박쥐가 날아다니는 동
안
초음파를 쏘아서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조심한다는 소식을 들었어. 정말 멋진 능력이야. 지구의 건물들이 너 ... 혹시 제 외모를 보고 제가 도와 줄 거라 생각했나요? 박쥐는 외모와 달리 착한 동물이에요. 미
안
하지만 지구 정복은 도와 줄 생각이 없답니다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5×7.5cm 크기의 장치 하나에서 0.86mW 정도만 얻을 수 있어요. 같은 장치 1만 개를 한 시간 동
안
펄럭여야 스마트폰 배터리 하나를 충전할 정도지요. 하지만 앞으로 효율을 높이고 크기를 키우면 더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해요. 물방울을 만나면 전기를 뱉는 소자바람이나 마찰뿐만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