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상징하는 대표적인 특징이에요. 일반적으로 검룡류 등에는 최대 높이가 60cm인 골판이 17~22개 정도 붙어 있어요. 이 골판은 피부로 덮여 있거나, 딱딱한 뿔 조직으로 싸여 있었을 것으로 보여요. 등뼈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고, 피부에 붙어 있는 형태지요.골판은 어느 부위에 있느냐에 따라서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요.파도풀 안쪽에는 물 수십 톤을 담을 수 있는 수조 여러 개가 있어요. 가득 찬 수조의 문이 열리면 300t이 넘는 물이 한꺼번에 아래로 빠져나오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지요. 그럼 이 힘에 의해 높이 2.4m, 속도는 5m/s가 넘는 거대한 파도가 생긴답니다.인공 파도풀은 ...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잘 붙는 원리를 이용해 물기가 있어도 강력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인공 문어 빨판을 개발했어요.먼저 연구팀은 문어 빨판의 흡인력의 비밀을 밝혔어요. 그 비밀은 빨판 안쪽의 미세한 돌기가 핵심이지요. 수분이 있는 물체에 문어의 빨판을 대고 누르면 수분의 일부는 빨판 밖으로 밀려나고, 나머지는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지 않아도 돼요.연구에 참여한 레오니드 크루그리아크 교수는 “날개가 짧아지면 잠수할 때 부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먹이를 구하는 데 더 유리할 것”이라며, “날 필요가 없어 체중을 늘릴 수 있게 되면 몸속에 더 많은 산소를 저장해 오래 잠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Water Cherenkov) 감마선 관측소의 관측결과를 토대로 반론을 내놨다. 연구팀은 특정한 두 개의 펄서(Geminga, PSR B0656+14)가 방출하는 감마선을 측정했다. 감마선은 양전자가 소멸할 때 방출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측정한 방출 특성을 바탕으로 펄서가 만들어낸 양전자가 우주를 통해 얼마나 멀리 확산될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진으로, 규모가 5.8이었다. 40년 만에 가장 강력한 지진이 두 차례나, 그것도 불과 1년 2개월 사이에 40km가량 떨어진 지점에서 연달아 발생하면서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졌다. 1. 왜 경북 지역인가공교롭게도 두 차례의 강력한 지진이 경북 지역에서 일어났다. 왜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몽타주 기술은 아직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고 기술적인 한계도 분명히 있다. 기술을 개발할수록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수많은 실종 어린이들이 가족의 품 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에 힘을 얻고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각각의 사진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카메라 한 대로 둥지 수백 개를 찍을 수 있대. 지금 이걸로 눈이 오든 비가 오든 바람이 불든 새끼들이 둥지를 벗어날 때까지 2시간 간격으로 우리 생활을 기록하고 있어. 이 기기로 뭘 하려는 거냐고? 내가 살짝 들여다보니 번식 기간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한편 이번연구는 맛과 영양이 높거나 추운 환경에 잘 견디는 새로운 보리 품종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이를 위해 국제 공동 연구팀은 대표적인 보리 품종 96종의 염색체를 분석해 보리의 유전형 다양성을 밝혔다. 최도일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어떤 유전자 요인에 의해 ... ...
이전417418419420421422423424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