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웹툰은 시즌 5 마지막 즈음에서 개발자만 알고 있는 ‘창’과 ‘방패’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방패는 나의 좋아하는 마음을 숨길 수 있는 기능이고, 창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알람을 울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런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상의 보안 기술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방패는 센서 노드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듯 배가 아파 병원을 찾았다가 심근경색을 진단 받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심장에는 세 개의 관상동맥이 있는데, 이중 가장 우측 혈관이 막히면 체했을 때와 통증이 유사합니다. 이럴 땐 소화제를 먹거나 손톱 밑을 바늘로 찌르면서 시간을 낭비해선 안 됩니다. 협심증도 대표적인 전조 증상 중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 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가면 최근 발표한 프로젝트 보고서 549개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 먹거리 가득한 관광지미니애폴리스는 코카시안이 많은 도시이지만, SAFL 연구원의 절반은 중국, 인도, 남아메리카, 중동 등에서 온 외국인입니다. 연구소 분위기는 자유로운 듯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 에너지보존법칙, 원심력, 구심력, 만유인력법칙, 중력 등을 소개한다. 2권은 열역학과 파동으로 구성했다. 원자, 축척, 압력, 부력, 기압, 온도, 열, 비열, 복사, 대류, 온실효과, 열역학법칙, 음파 등이다. 전자기학, 현대물리학 등 두 권의 시리즈가 이어서 출간될 예정이다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몸길이 1mm 정도인 예쁜꼬마선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예쁜꼬마선충은 신경세포가 302개에 불과해 신경망의 네트워크 연결구조가 상세히 밝혀져 있다. 연구팀은 이 신경망 네트워크 연결구조를 활용해 신경망에서 신경 신호가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생들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크고 복잡한 문제를 작게 여러 개로 나누는 ‘병렬화’ 작업을 하면서 경영을 배우게 되지요. 실제로 이번 도전을 하면서 특정 부분의 조립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문제를 설명서와는 다른 조립 순서를 찾아내 해결했답니다. Q. 초등학생 1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증명을 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더 쉬운 문제긴 하지만, 왜 이런 무늬의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아마추어 수학자의 기여로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온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수학동아 독자들도 언제가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곧 개관할 김해수학체험센터, 앞으로 건립 예정인 진주와 거제의 수학체험센터까지 총 5개의 수학체험센터 건립 계획을 실행 중이다. 그리고 경남 창원에는 2018년 1월에 체험센터의 중심 역할을 할 경남수학문화관이 들어선다. 수학체험센터는 수학 교육과 관련된 체험 공간으로 학생이 주로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동전을 얻은 뒤엔 끈 하나를 더 끊어야 합니다. 도트 앤 박스의 상자 한 개가 동전 한 개와 같고, 이웃한 두 상자는 끈으로 연결한 동전과 같습니다. 두 상자가 공유하는 선분을 그리는 것은 동전 사이의 끈을 끊는 것과 같지요. 도트 앤 박스는 준비물도 간단하고 규칙도 쉽지만, 한 수 앞을 내다보고 ... ...
- [과학뉴스]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렸지요. 이때는 4개의 유전자를 변형했지만, 이번에는 세 가지 빛을 인식하기 위해 18개의 유전자를 변형했답니다.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보이트 교수는 “앞으로 더 다양한 색상의 빛에 반응하는 대장균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어요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