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돌로 만들었다고 해요. 이 사실을 근거로 아라비아 사람들이 말을 가축으로 기르고, 매와
개
를 이용해 사냥을 했다는 걸 알 수 있지요.더 놀라웠던 건 동물 석상들이 오래 전 아라비아 지역이 넓은 초원이었다는 걸 말해 준다는 거예요. 왜냐하면 야생동물이 살기 위해선 날씨가 습하고, 풀과 나무가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달린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
개
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주사할 수 있으며, WHO에서 추천하고 있다. 반면 경피용 BCG 백신은 흉터가 적게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백신의 효과에서는 피내용과 ... ...
‘나노영챌린지 2017’ 6
개
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나노기술의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
개
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
최한 나노영챌린지 ... 많이 줬다”고 말했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
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종류를 인식해서 로봇손으로 옮겨 실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
발하고 있다. 그간 자율주행 물류로봇들이 자율주행으로 물건을 이동시키는 기능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철도연은 스스로 물건을 인식해서 적재하는 기능까지 더했다. 이를 위해 로봇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했다.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교수팀은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 인식 세포 200여
개
가 얼굴이나 표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패턴이 다르고 이를 통해 얼굴을 인식한다는 열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doi:10.1016/j.cell.2017.05.011).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는 결국 여러 얼굴 인식 세포 활동의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3페이지에 이르는 장문의 글을 보내왔다. 지면 사정상 원문을 축약해 독자들에게 소
개
한다. Defending the Oceans: Sea Shepherd’s Ocean WarriorWritten by Heather Stimmler, Media Director at Sea Shepherd GlobalPhoto by Sea Shepherd Glob ...
Part 1. 연구
개
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
개
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올해 10월 부산에서 에이즈의 원인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감염된 사실을 숨기고 성매매를 한 여성과 이를 알선 ... 매년 1회 재검사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최 교수는 “한국도 HIV에 대한 인식과 제도를
개
선해 HIV 검사가 일상화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
개
발과 환경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지구 전체로 보면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탄산염광물 형태로 암석 속에 갇혀 있다. 동물의 호흡 등 생명 활동이나 화석 연료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지만,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세 지역의 박사후과정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뽑습니다. 올해 지역 부문에서는 28
개
연구기관에서 추천한 161명의 후보가 각축을 벌였어요. 허준이 박사는 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로타 추측’을 수학의 전혀 다른 분야를 이용해 증명한 공로로 상을 받았어요. 로타 추측은 모든 그래프의 특성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