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갖췄고, 숙원이던 동물과 식물의 노화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팀도 꾸렸다.“막 연구를 시작하는 기분입니다. 지금까지는 일종의 연습 과정이었고, 이제는 과학이 무엇인지 조금 알 것 같습니다. 학생들을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도 감이 잡힙니다. 한 사람의 리더가 연구 방향을 정하기보다는 자신만의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바닥이 시작된 배꼽해령은 해양지각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거대한 해저 구조물로, 모든 지각변동의 기준이 된다. 북극해와 남극대륙은 극명하게 다른 두 중앙해령에 의해 만들어졌다. 해양지각의 색깔은 지각의 연령을 나타내는 것으로,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최근에 생긴 젊은 지각이다. 확장 속도를 ... ...
- PART 1. 누가 누가 잘할까? 미리 알아보는 올림픽 순위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올림픽이 시작하기도 전에 각 나라가 메달을 얼마나 딸지, 몇 위를 할지 알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가 준비한 첫 번째 방법은 바로 올림픽에 출전하는 각 나라가 딸 메달 수를 수학으로 예측해 보는 것이랍니다. 어느 나라가 올림픽 메달을 가장 많이 획득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독일 경제 ... ...
- [재미] 무인자동차 내 손으로 만들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8개와 4개로, 8칸짜리 룰렛은 당첨되면 100점, 4칸짜리 룰렛은 50점을 얻어요.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룰렛을 몇 번 돌릴지 물어보는데,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하면 그만큼 룰렛을 돌리고 기댓값을 구해줘요. 덕분에 룰렛을 1번, 10번, 100번 돌렸을 때 기댓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려줘 확률 공부도 할 수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인식 변화 때문이다.덕후는 음침하고 게으른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최근 변하기 시작했다. 헤럴드경제와 SK플래닛 광고부문이 2014년 1월부터 10월까지 덕후와 관련된 키워드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덕후는 ‘행복’, ‘인생’, ‘사랑’ 같은 긍정적인 키워드와 연관이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연결한 음주측정 배지가 차지했다. 1등 수상자에게는 건담 조립모형이 전달됐다. 시작은 필자, 몽이, 나스카 등 세 명이었지만 배지를 완성시킨 것은 김치콘 참가자들이다. 매캐한 연기를 마다하지 않고 납땜에 도움을 준 자원봉사자, 즐겁게 게임을 즐긴 사람들,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배지를 개조한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륙이 남극에서 본격적으로 떨어져 나가면서부터 남극 주변에 순환류가 돌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따뜻한 해류가 남극대륙까지 흘러들어오는 것이 완전히 차단돼 남극대륙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졌을 것이라고 말이다. 그 이후에는 대륙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눈이 녹지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달리, 다양한 프로젝트를 특정 지역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올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한-UNDP 2단계 협력 사업은 2020년까지 진행되며, 8월 중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발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 사업에 총 400만 달러(약 46억 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신경유전학의 대가다.둘의 인연은 민 교수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던 칼텍에서 시작됐다. 민 교수는 “선생님은 내게 탐험가 기질이 있다는 것을 알아챘고, 역시 탐험가 체질이었던 선생님은 나와 정말 죽이 잘 맞았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벤저는 숱한 성과를 냈음에도 유명 대학과 연구소의 ...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1은 꾸준히 암에 걸리지만, 사실 모든 암은 전혀 예측하지 못한 돌발적인 세포 변이에서 시작된다. 다시 말해, 위험에는 두 얼굴이 있다. 멀리서 인구 전체를 숫자로 파악하는 관점과, 가까이서 개개인의 인생을 맥락의 미로로 보는 관점. 이 때 문에 우리는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확률의 숨겨진 ... ...
이전4234244254264274284294304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