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
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공식’의 핵심을 직관적인 그림 모델로 이해해 보자.122쪽의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시작
해보자. 먼저 사회적 행동이 아닌 형질을 만드는 유전자다(그림1). 예를 들어, 잘 익은 과일처럼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달다고 느끼게 하는 유전자는 개체의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된다. 이처럼 개체의 번식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드라이아이스) 등의 휘발성 물질로 이뤄져 있죠. 포에베 버그는 이 행성에서 퍼지기
시작
한 생명체입니다. 과연 이런 극한 환경에서도 세균이 살 수 있을까요.방사능과 극저온에서도 살아남는 세균지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극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세균이 발견됐습니다. 그 중에는 강한 방사능을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스타덤에 올랐고, 단백질 분해도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
했다. 새로운 단백질 분해법을 찾아냈지만 연구를 이어나가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비유를 들자면, 호텔을 철거하는 데 5일이면 충분하다고 해보죠. 반대로 좋은 호텔을 세우는 데는 5년도 모자랄 겁니다. 내부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너무 익숙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는 의미 있는 문제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
합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일에도 관심을 갖고 스스로 해결법을 고민하다 보면 자신의 꿈도 계속 발전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딥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알파고는 기보를 보고 다음 수를 예측하는 과제부터
시작
했어요. 인간이 둔 다음 수를 정확히 예측하면 ‘성공’, 틀리게 두면 ‘실패’지요. 그럼 성공한 수가 더 중요한 정보로 남아요. 알파고는 이런 식으로 기보 16만 건을 학습한 뒤에 마치 사람처럼 바둑을 둘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각각의 물고기 몸에서는 면역반응이 일어나며 몸에 들어온 상대방의 비늘이 빠지기
시작
했어요. 4일 후, 다른 물고기의 비늘이 성공적으로 빠진 물고기의 수는 뇌가 작은 물고기가 16% 정도 더 많았답니다.콧샬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뇌의 진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아 참! 에서도 ‘지구사랑탐사대’를 통해 올해부터 제비 탐사를
시작
한다며? 친구들도 지사탐을 통해 우리처럼 제비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 주길 바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곤충의 도움으로 다른 민들레꽃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묻어 수정이 되면 씨가 자라기
시작
해요. 이때 갓털도 함께 점점 자라지요. 갓털은 새의 깃털처럼 생겨서 민들레 씨가 바람에 날려 멀리 퍼질 수 있게 돕는답니다.6~7월이 되어 민들레 씨가 완전히 여물고 갓털도 충분히 자라면, 씨는 갓털을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세케레시와 에르되시가 발표한 1935년 논문은 램지 이론★과 조합 기하★ 분야의
시작
이 되는 중요한 연구입니다.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정리가 증명돼 있습니다.[램지 이론★ 꼭짓점의 크기가 충분히 큰 그래프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그래프가 반드시 있다는 이론. 조합 기하★ 유한 개의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