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남짓이지만, 전세계 35개 기업과 기술 협력을 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혹시 방문하게 되면
연구진
들의 얼굴을 유심히 보세요. 2004년 그래핀을 처음으로 분리해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도 이곳에서 일하고 있으니까요. 한국인 ... ...
[News & Issue] 움직이지 마! 투명새우 보일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일명 ‘말미잘 새우’는 온몸이 투명해 ‘유령 새우’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미국
연구진
이 이런 은둔 기술의 비밀을 밝혀냈다.미국 듀크대 로라 배그 연구원팀은 말미잘도 새우(Ancylomenes pedersoni)가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몸의 투명도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을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성공할 가능성과 최적의 관측조건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해야 했다. 그러는 중에도
연구진
은 탐사선의 상태를 매주 한 번씩 주기적으로 관리했다. 태양 근접 지점을 지날 때마다 탐사선의 온도가 상승해 관측기기가 영향을 받지는 않을까 걱정도 컸다.그러던 12월 7일, 단 한 번의 기회가 찾아왔고 ... ...
[수학뉴스]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빙 두르듯 이어붙이면 새로운 정다각형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입니다.
연구진
은 다각형의 예각과 둔각의 개수, 다각형 내각의 합 사이의 관계를 통해 꼭짓점이 2n개인 정다각형을 좌우 대칭인 n각형 2n개로 나눌 수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정다각형의 꼭짓점이 많아질수록 전체적으로 원에 ... ...
[News & Issue]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양의 항체가 생성된 반면, 그렇지 않은 낙타는 콧물에서 메르스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연구진
은 이번 연구가 바이러스 전염과 전파의 고리를 끊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2015년 12월 17일자에 실렸다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외양간올빼미는 주관적 윤곽선이 만든 삼각형과 사각형이 나타나도 모니터를 쪼았어요.
연구진
은 시각 세포의 반응에 대한 실험도 함께 실시해 외양간올빼미가 주관적 윤곽선으로 만든 착시를 본다는 결론을 내렸답니다. 착시 보는 기계도 있다만약 기계가 착시현상을 인식한다면 어떨까요?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때문이다.실제 비타민D 부족과 조현병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연구진
이 덴마크에서 1981년부터 2005년 사이에 태어난 848명을 조사해 2010년에 발표한 논문이다(Arch Gen Psychiatry. 2010;67(9):889-894). 덴마크 정부에서 만든 정신질환 자료와 바이오뱅크에 보관된 신생아의 건조혈반을 이용해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옴부즈퍼슨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황은성 교수는 “옴부즈퍼슨은 대학의
연구진
실성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를 할 것”이라며 “수십 년 동안 지속되면 신뢰가 쌓이고 효과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도입 초기부터 큰 역할을 기대하지 말고 길게 보자는 말이다. 미국은 1960년대 후반부터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이르게 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국내에도 8만 명이 넘는 환자가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
이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을 파킨슨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뇌’ 10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주인공은 진병관 경희대 의대 교수와 남진한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못 보던 물체나 물고기가 나타나면 삼팔이가 가장 먼저 눈치채곤 했지요. 현장의
연구진
은 다른 돌고래는 몰라도 삼팔이는 당장 방류해도 잘 살 것이라고 이야기하곤 했어요.이젠 장난꾸러기 삼팔이에게 제가 바라는 점은 단 하나예요. 조만간 삼팔이가 새끼와 같이 나란히 제주도 앞바다를 누비는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