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해외
연구진
이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블랙홀을 찾아 화제가 됐어요. 중국 베이징대학교 쉐빙 우 교수팀은 강력한 에너지를 내는 천체, 퀘이사 ‘SDSS J0100+2802’를 관측했어요. 지상에 있는 망원경과 적외선 탐사위성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 알아냈지요. SDSS J0100+2802는 물고기자리와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땅을 파고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한중공동
연구진
은 올해부터 백두산 시추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원은 “지하 10km 마그마 방 주변부를 7km가량 뚫고 들어가서 백두산 천지의 지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예측 가능해도 피해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비릿한 바다 내음도 맡으며.3.열과 전기자극으로 느끼는 6가지 맛 (개발 중)싱가포르
연구진
은 내년 상반기 이전 상용화를 목표로 가상미각 장비 ‘Taste+’를 개발하고 있다. 텀블러나 숟가락 모양으로 생긴 이 장비는 입이 닿는 부위에 전극이 설치돼 있다. 액체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 ...
착시 드레스 논란,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드레스 색을 반전시킨 노란색 드레스는 실험자의 95%가 노란색을 맞춘다. 다른 독일
연구진
은 사진을 볼 때의 주변 밝기를 이유로 꼽기도 했다. 같은 색이라도 밝은 조명 아래에서는 밝게(흰색), 어두운 조명에서는 어둡게(파란색) 보인다는 것이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커런트바이올로지’ 5월 1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기존 전도성 섬유는 신축성이 떨어져 늘리면 전기적 특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고무재질의 고분자물질과에 은나노 와이어를 섞은 뒤 이것을 실처럼 뽑아내는 방법으로 1000번을 늘여도 망가지지 않는 스마트 섬유를 만들어냈다. 이 섬유로 스마트 장갑을 제작해 수화를 컴퓨터로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토성의 남극에서 일종의 ‘온천’을 뿜어내는 위성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 국제 공동
연구진
이 엔셀라두스의 정확한 분출 과정을 시간대별로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보내온 엔셀라두스의 사진 자료를 이용해 엔셀라두스의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한국
연구진
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검출기가 큰 역할을 했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
연구진
은 중성 B중간자(B0)가 뮤온으로 붕괴하는 과정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5월 13일자에 발표했다. B중간자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인 양성자를 고속으로 충돌시켰을 때 아주 짧은 시간 동안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우선돼야 한다. 크리스퍼를 발견한 다우드 박사를 비롯한 유수 의 외국 연구자들은 중국
연구진
이 결과를 발표하기 전부터 인간 유전체 편집을 자제할 것을 호소하는 성 명을 발표했다.올해 하반기에는 인간 유전자 조작에 얽힌 윤리문제만을 다루는 콘퍼런스도 개최할 예정 이다. 우리나라는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그동안 진화관계가 뒤죽박죽 얽혀 있었다. 최근 한국과 중국, 덴마크 등 20개국 국제공동
연구진
은 현대 조류를 대표하는 48종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방대한 진화계통도를 다시 썼다.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로는 가장 큰 규모이며 기간은 총 4년이 걸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새는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옵신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아미노산 서열 변화가 일어났다. 논문을 발표한
연구진
은 시각의 진화가 새들이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이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조류의 진화 역사를 보면 시각이 뛰어난 개체가 자연 선택되는 경향이 포유류에서보다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시력이 별로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