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액은 수컷의 강력한 무기였다. 미국 우스터대 생물학과 로라 시롯 교수가 이끈
연구진
은 작년 12월 발표한 논문에서 정액 단백질이 오래된 ‘성 갈등(Sexual Conflict)’의 역사를 보여준다고 해석했다(오른쪽 표 참조).암컷은 당하고만 있었나그런데 암컷이 수컷의 공격에 일방적으로 당하고만 ... ...
[과학뉴스] 소의 ‘메탄방귀’ 줄이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뀌는 방귀는 미국 전체 메탄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이다. 최근 미국
연구진
이 이 메탄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발견했다.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동물과학과의 알렉산더 리스토프 교수팀은 홀스타인종 젖소 48마리에게 12주간 3-질소산화프로판올(3NOP)이 든 사료를 먹였다.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듣고,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척수를 연결하지 않아 행동할 수는 없었다. 2002년에는 일본
연구진
이 저온에서 쥐 머리를 성인 쥐의 허벅지에 이식했다. 머리는 3주 동안 더 성장했다고 한다. 물론 이 가운데 살아남은 동물은 없다.팔의 면역거부반응 억제할 약이 있을까?장기와 전혀 다른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계속해 왔다. 최근 그 결과가 나왔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연구진
은 양성자 충돌 실험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닥 쿼크가 정확히 표준모형에서 예측하는 대로 행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초대칭이론이 필요 없다는 뜻이다. LHC 뷰티(바닥) 쿼크 실험그룹의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분쇄해 펜타쿼크를 발견했다고 보고해 화제가 됐지만 3년 뒤 착오로 밝혀졌다. CERN
연구진
은 이번 발견이 10시그마의 정확도라고 설명했다. 이는 검출된 데이터가 펜타쿼크가 아닐 가능성이 1022 분의 1이라는 뜻이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7월 14일자에 실렸다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려요. 그런데 최근 시간이 지나며 분출물이 나오는 방향이 변하는 장면을 우리나라
연구진
이 포함된 국제공동 연구팀에서 관찰했답니다.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 ...
매운 맛, 통증완화제 개발 길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대신해 진통 작용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통증완화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진
은 “이 연구를 통해 캡사이신보다 통각 수용체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네이처 화학생물’ 6월 8일자에 실렸다 ... ...
우주에선 노화 느려질까? 꼬마선충 직접 실험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구와는 다른 유전자 변이가 나타나는지, 표현형에 변화가 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진
은 이번 실험이 우주에서 장기 체류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뼈·근육 질량 감소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과학동아가 미국으로 날아갔다. 세계적 재난로봇 대회에 참가한 우리나라 로봇
연구진
의 활약을 두 눈으로 지켜보기 위해서다. 대회는 6월 5~6일 ...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는 KAIST
연구진
이 앞으로 더 큰 기술진보를 이루길 기대해 본다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땅을 파고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한중공동
연구진
은 올해부터 백두산 시추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원은 “지하 10km 마그마 방 주변부를 7km가량 뚫고 들어가서 백두산 천지의 지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예측 가능해도 피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