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에서 확산하는 코로나19 변이체, 알려진 것과 아직 모르는 것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단백질에 결합해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항체를 생성한다. 새 변이체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가 생겨 항체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단일 단백질에 대해 여러 항체를 생성하기 때문에 새 변이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에 변이를 일으켜도 ... ...
[팩트체크]영국 '변종' 바이러스 대신 '변이체'가 정확한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이것이 ‘선택압(selective pressure)’으로 작용해 진화한다”며 “면역 회피를 위해
돌연변이
가 나타날 것이고, 이는 향후 백신 개선에 중요한 정보가 된다”고 설명했다. ... ...
WHO 유럽사무소 “코로나19 변이체 억제할 조치 강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새로운 유전물질이 생긴다”고 말했다. 다만 이 과정을 겪으며 새로운
돌연변이
는 이전
돌연변이
보다 몸에 침투하는데 확실히 더 적합해 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변한다는 것이다. 크리스 휘티 영국 최고의료책임자도 지난 19일(현지시간) 성명을 ... ...
英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발견" WHO 보고…전문가들 "변종 여부 아직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대신 바이러스 출현 이후 1년 가까이 지난 만큼
돌연변이
가 축적돼 원래 감염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변종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참여하는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아미노산에 결손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그다지 신비롭지 못한 물질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니까 멀러가 X선으로 수많은
돌연변이
를 쉽게 양산했다는 결과는 유전자의 실체가 전자기파와 상호작용하는 어떤 화학물질임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것이기도 했다. 유전물질의 정체에 다가가는 결정적인 한 발을 내디딘 사람은 미국의 ... ...
한국과학상에 기하학 이론가 김범식·메타물질 연구자 박규환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분석이 가능하게 만든 연구를 수행했다. 주영석 교수는 비흡연자의 폐선암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
의 특성을 밝혀냈다.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한 과학기술자들을 격려하고 열정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만능 독감 백신 임상 시험 첫 문턱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바이러스의 HA를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로 바꾼 ‘키메라 백신’을 만들어
돌연변이
가 덜 생기는 기둥 부분에 결합하는 항체가 만들어지도록 했다. 키메라 백신은 줄기 부분은 그대로 두고 머리 부분을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로 바꾼 백신이다. 사람의 면역 체계는 처음 침입한 ... ...
타고난 텔로미어 너무 길면, 암 생길 위험 커진다
연합뉴스
l
2020.12.03
는 텔로미어 길이를 조절하는 TIN2 단백질의 생성 정보를 가진 유전자다. 이와 똑같은
돌연변이
가 생기게 유전자를 조작해 배양한 세포는 여지없이 텔로미어 길이가 너무 길었다. 실제로 네덜란드 가족 암 환자의 텔로미어 길이는 상위 1%에서도 위쪽에 들 만큼 길었다. 더랑어 교수는 "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육과 글루타민
2020.12.01
않을까. 연구자들은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에서 Glud1 유전자가 고장난
돌연변이
생쥐를 만들었다. 그리고 근육에 손상을 입히는 약물을 주사한 뒤 회복 속도를 일반 생쥐와 비교했다. 그 결과 변이 생쥐가 약물에 손상된 근육의 비율이 낮았고 회복 속도는 빨랐다. 실제 변이 생쥐에서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정상 제브라피쉬(왼쪽)와 Supt16h
돌연변이
제브라피쉬의 조혈줄기세포 발생 기작을 설명한 그림이다. 정상(Wildtype)의 경우 p53과 노치를 억제하는 단백질(phc1)의 발현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노치 신호가 정상 작동해 조혈줄기세포가 만들어진다. 반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