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 호르몬 실시간 검출하는 ‘몸 속’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부신 표면에서 측정하는 플라스틱 소자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7일자에 소개했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를 겪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을 하나다.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분비되면 인체의 항상성이 무너져 심혈관계나 면역계, 소화계, 생식계의 만성 질환과 우울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아침을 거르는 시간제한섭식(C)은 효과가 없거나 해로울 수도 있다. ‘미국립과학원
회보
’ 제공 섭취 칼로리를 30% 정도 줄이는 다이어트의 경우 임상시험처럼 전문가들이 관리하는 경우조차 중도 탈락률이 40%나 된다고 한다. 그러니 개인이 ‘새해 결심’으로 이런 다이어트를 시작할 경우 열에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지니는 분해 효소의 구조를 바꿈으로써 PET 분해 성능을 개선해 4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이 교수의 연구는 플라스틱 제조와 분해를 모두 아우르며 올해 과총 10대 국내 과학기술 뉴스의 연구개발 성과 부분 1위에 올랐다. 이 교수는 “플라스틱 산업이 친환경 화학산업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빗과 비교한 결과 고양이 혀를 모방한 빗의 성능이 훨씬 더 뛰어났다. ‘미국립과학원
회보
’ 제공 페르시아고양이는 관리가 필요해 개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고양이도 나름 여러 품종이 개발됐다. 이 가운데 털이 길고 풍성한 페르시아고양이는 우아한 자태로 예로부터 인기가 높았다. 그러나 ... ...
'지구온난화 멈췄다' 주장 연구논문들 대부분 '부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판단할 수 있는 수치상의 유의미한 증거가 없었다는 분석결과를 국제학술지 ‘환경연구
회보
’ 18일자에 발표했다. 이 연구진은 2015년에도 2009~2014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 40편을 분석해 과학자들이 동의할 수 있는 확실한 수준의 통계학적 정체기나 휴지기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린 적이 있다. 최근 ... ...
동물 사회도 지위 낮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무리 내 서열에 따라 건강 상태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17일자에 발표했다. 서열이 높은 암보셀리 개코원숭이가 서열이 낮은 암보셀리 개코원숭이보다 더 빨리 병을 치료하고 부상을 극복한다는 과거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다. 통칭 비비라는 이름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잎, OL은 늙은 잎, ST는 어린 가지, RT는 잔뿌리, FL은 꽃, FR은 어린 열매다. ‘미국립과학원
회보
’ 제공 차나무 게놈 얘기로 돌아와서 먼저 게놈 크기는 중국종이 31억4000만 염기이고 아삼종이 30억2000만 염기로 사람 게놈과 거의 같다. 차나무는 게놈에서부터 사람과 인연이 있는 걸까. 하지만 유전자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UT오스틴)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밟는 동안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논문을 발표했는데, 당시 그 저널의 에디터가 바로 아놀드 교수였다. 이후 아놀드 교수와 친분이 있던 조르지우 교수의 추천으로 아놀드 교수와 다시 한 번 연이 닿아 그의 연구실에 합류하게 된 것이다.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과학상 수상 업적이 실린 논문은 ‘사이언스’ ‘네이처’ ‘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등으로, 4대 메이저 학술지 쏠림 현상도 뚜렷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노벨 과학상과 일부 학술지의 연관성이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노벨 과학상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 ...
헌팅턴병 초기 발생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황대희 DGIST 뉴바이올로지 전공 교수(왼쪽)와 이성배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신체가 조절이 잘 안 되며 경련이나 춤과 비슷한 신체 행동을 보이게 되는 헌팅턴병(헌팅턴 ... 대한 연구에도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11월 6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