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표면서 얼음 확인…달 식민지 활용 가능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분석한 결과 달의 남극과 북극 표면에 분포한 얼음 위치를 담은 지도를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20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달에 존재하는 얼음은 달의 극지에 유독 많이 존재한다. 달의 극지는 1년 내내 햇빛이 들지 않는다. 얼음의 대부분은 지하에 존재했지만 일부는 표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핫 하우스' 지구, 더 이상 픽션이 아니다
2018.08.21
일단 이 길로 들어서면 워낙 가팔라 인류의 힘으로는 되돌릴 수 없다. - 미국립과학원
회보
제공 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것으로는 부족 무엇보다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한다. 지난 파리기후협약에서 여러 나라들은 상당한 수준의 감축을 약속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2030년에 온실가스를 ... ...
식물 생체리듬 유전자, 노화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5
동물이든 식물이든 하루 24시간 중 낮 과 밤의 주기, 이른바 일주기를 인식해 신체활동을 조절한다. 흔히 이를 생체리듬이라 부른다. 국내 연구팀이 식 ...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7월 30일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온라인 판에 발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10억 마리에 이르고 닭은 무려 190억 마리가 살고 있다. 최근 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
’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서 사람의 생물량(탄소 기준)은 6000만 톤이고 가축 포유류의 생물량은 1억 톤에 이르는 데 비해 야생 육상 포유류는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톤에 불과하다. 새도 가금(주로 닭 ... ...
야근하면 살찌고 아픈 이유...소화기 ‘생체시계’ 교란
동아사이언스
l
2018.07.11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과학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따르면 데브라 스켄 영국 서레이대 의대 연구원팀이 미국 성인 남녀 14명을 연구실에 머무르게 하면서 일주일간 합숙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피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동물의 공동조상인 후편모류(Opisthokonta)가 변곡점임을 주목하라. - ‘미국립과학원
회보
’ 제공 그래프를 보면 3단계는 증가에서 감소로 가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깃편모충류와 동물류의 공동조상으로 아직 단세포생물이면서도 다세포성에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따라서 군체는 형성할 ... ...
하마 똥이 아프리카 하천 위협?
과학동아
l
2018.07.05
하마의 똥에 의한 하천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 14일자에 발표했다. 하마 똥은 수중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되는 일종의 천연 비료다. 하지만 물의 양은 급격히 줄어든 반면, 하마가 물가에 배출하는 똥의 양은 줄지 않는 게 문제다. pixabay 제공 키넌 ... ...
‘현미경의 난시’ 고쳤다… “모든 광학·전파 장비 설계 바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6.27
사진 = pixabay 제공 과학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비 중 하나가 현미경이다. 수백배가 넘는 배율로 조그마한 물질을 정밀하게 들여다봐야 하니 적잖은 ... 설계가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6월 13일 수요일자에 게재됐다.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HOS15)라는 단백질이 추위를 견디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포 속 핵의 DNA가 꽁꽁 뭉쳐 있는 구조에 주목했다. DNA는 워낙 길고 가는 구조라 마치 실패처럼 생긴 단백질(히스톤)에 돌돌 말린 채 세포 안에 차곡차곡 쌓여 있다. 이런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온라인판에 5월 1일 게재됐다. IBS연구진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구조 일부가 ‘유연한 띠’로 바뀌는 현상이 진화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 있다. IBS 제공.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