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칭"(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새가 날아가는 경로를 상상하며 포물선의 꼭짓점과 대칭축을 그려본다면 명중시킬 확률은 더욱 높아지기 때문이다.실제로 이 게임을 현실 세계로 이끌어 낸 곳이 있다. 중국 후난성에 위치한 테마 파크에는 새 대신 공을 새총 모양의 기구에 장착해 과녁에 맞히는 ... ...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있는 N과 M, J 위에 있는 U와 I를 비교해 보자. N과 M은 J를 좌우로 나눈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세 키의 중심점을 이으면 정삼각형이 나온다. 하지만 U는J와 가까운 위치에, I는 J보다는 K와 더 가까운 위치에 놓여 있다. J를 기준으로 U가 N보다 더 가까이 있는 이유는 집게손가락을 굽히는 것보다 ... ...
- 색종이로 만든 퍼즐 펜토미노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이어 붙인 정사각형의 변과 변이 정확히 맞닿은 도형만 폴리오미노라 한다. 또한 회전·대칭 이동해 같은 모양이 되면 두 폴리오미노는 같은 조각으로 간주한다.폴리오미노는 이어 붙이는 정사각형의 개수에 따라 종류를 나눈다. 1개는 모노미노, 2개는 도미노, 3개는 트리오미노, 4개는 테트라미노, ... ...
- '죄수의 딜레마' 가 알려준 '이기적 미남미녀'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자백 중 하나를 선택하게 했다. 그 뒤 실험참가자의 얼굴을 분석했다.그 결과 좌우 대칭형 얼굴을 지닌 사람이 다른 참가자보다 자백할 확률이 훨씬 높았다. 또 상대방이 침묵할 거라는 기대치가 낮았다. 죄수 B가 침묵하면 죄수 A는 자백하는 것이 유리하고, 죄수 B가 자백해도 죄수 A는 자백하는 ...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한국형 공중요격 미사일인 ‘‘철매’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첨단기술이 북한과의 비대칭 전력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뛰어난 과학기술이 있어야 압도적인 군사력도 기를 수 있다”는 그의 말을 듣고 있자니 문득 세계대전 당시 ‘전차전의 귀신’으로 불렸던 미국의 ... ...
- PART 2. 수학은 놀이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안 될 정도로 산만했다. 폴리오미노 문제를 잘 풀려면 각 폴리오미노의 조각이 회전·대칭 이동했을 때의 성질과 서로 다른 조각을 이용해 평면을 채우는 원리를 잘 알아야 한다.그들에게 주어진 문제는 총 20문제. 문제의 난이도는 쉬운 것부터 혼자 힘으로 절대 풀 수 없는 고난도까지 다양했다. ... ...
- 수학 예술가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에셔의 작품과 같이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타일을 만들려면 수학에서 쓰이는 평행, 대칭, 회전 이동이 필요하다.이제 정삼각형을 변형한 새 타일을 만들어 보자. 먼저 그림①과 같이 선분 AB에 그린 곡선을 시계방향으로 60°만큼 회전 이동해 선분 BC 위에 그린다. 그런 다음, 그림②처럼 선분 AC의 ... ...
- 3차원에서의 작도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위의 작도들은 2차원 작도에서도 비슷한 작도가 있었다는 것(선분의 수직이등분선, 선대칭점, 수선, 평행선 등)을 떠올릴 수 있으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어떤 작도는 2차원 작도에서 썼던 방법을 응용하는 것보다 아예 새로운 방법을 처음부터 생각하는 것이 더 쉬울 수도 있다. 어떤 회원은 ...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끊어서 더하면 모두 19998이 된다. 또 2와 15를 각각 곱해 4자리씩 끊어 놓은 값이 서로 대칭인 것도 볼 수 있다. 459처럼 17의 배수를 곱할 때는 39996과 같이 9999의 배수가 나온다. 어떤 수를 곱하더라도 9999의 배수가 나온다. 또 제곱해서 16자리씩 끊어서 더한 값은 원래 값에 8을 곱한 값과 같다.한편 ...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정의를 주고 그에 대한 논리 전개를 요구하는 문제도 나온다. ‘대칭연속’이나 ‘대칭미분가능’ 같은 새로운 개념을 정의한 뒤 그 개념을 응용하고 확장해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검토하는 문제, 이계평균변화율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제시해 삼계평균변화율을 정의하는 문제가 나온다. 생소한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